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화훼장식은 화훼 식물의 특성에 따라 절화장식과 분식물 장식

봄춘 2015. 9. 16. 21:55

화훼장식은 화훼 식물의 특성에 따라 절화장식과 분식물 장식으로 나뉘고 ,
장식물의 배치 공간에 따라 실내 장식과 실외 장식으로 나눌수 있다 .

절화는 꽃이 시들때까지 일시적으로 장식이 이루어 지는 반면 ,
화분에 심어져 있는 분식물은 일시적으로 이용되거나 계속 생장하기 때문에

배치 후 지속적 혹은 영구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
따라서 절화 장식과 분식물 장식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

절화 장식은 소규모로 이루어 지지만 꽃이 주소재로 서 화려한 색과 섬세한 아름다움을 보인다 .
분식물을 이용한 장식은 소규모에서 대형 실내정원까지 다양한 크기와 용도로 이용된다 .

가) 절화 장식의 분류

절화장식은 꽃꽂이로 가장 많이 알려져 있으나 오늘날의 절화장식은 꽃꽂이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절화 장식은 주로 실내에서 이루어 지며 장식 기간이 일시적이다 .
특히 뛰어난 식물건조와 가공 기술은
생화와 거의 비슷한 형태와 색상을 가진 건조화 생산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

건조화 외에도 천, 플라스틱, 유리 ,종이 등으로 만들어진 조화가 생화 대용으로 이용되며
그 특성에 따라 다양한 기법과 용도로 장식에 이용되고 있다 .

이외에도 절화 장식에는
꽃다발 , 리스 , 갈란드, 형상물, 콜라주, 압화장식, 포푸리 등이 있다

대부분의 절화 장식물의 줄기는 방사선, 병행선, 교차선, 그리고 감는선의 모양으로 배열돠며 ,
줄기를 짧게 잘라 꽃으로만 배열하기도 한다 .

현대식 절화 장식물은 줄기 배열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

(1) 구성 형식에 의한 분류

구성이란 개개의 소재들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이루어진 상태로 만들어진 전체 , 혹은 디자인을 말한다
절화 장식을 구성 형식에 따라 분류해보면 다음과 같다 .

1) 장식적 구성

장식적 구성은 디자이너의 의도로 소재를 자우롭고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형태로서
절화 장식에서 가장 먼저 시작된것이다 .
이구성의 전형적인 형태는 대칭형의 방사선 줄기 배열로서 만힝 사용되고 있다

2) 식생적 구성

식생적 구성은 식물의 생리, 생태적인 면을 고려하여
식물이 자연 상태에서 살아있는것과 같은 형태로 조형하는것으로 장식적 구성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3) 구조적 구성

구조적 구성은 장식적 구성이 발전되어 나타난 새로운 현대적 구성이다 .

4) 형 - 선적 구성

형 - 선적 구성은 각 식물의 소재가 가지고 있는 형태와 동적인 특성이 잘 나타나도록 형과 선을 명확히
표현하는 구성이다 .

5) 오브제적 구성

식물을 다른 소재와 조합하여 그 형이나 색체, 질감의 대비나 조화등을 비사실적 기법에 의해
순수한 구성미를 가진 형태로 표현하는것이다

디스플레이용이나 전시회 작품용으로 많이 이용되는 구성 양식이다 .

6) 평면 구성

절화 장식은 대부분 입체 구성이지만 평면구성도 가능하다 .
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틀이나 골조안에다 생화 또는 건조 소재를 붙혀서 구성하는것이다 .

평면 구성의 종류에는 생화나 건조화를 이용한 콜라주나 압화를 이용한것이 있다 .

1) 전통 한국식 꽃꽂이

자연에서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화기에 재현한 자연적인 구성으로 나뭇가지 선이 가지는 아름다움을 특히 강조한다 .

2) 전통 유럽식 꽃꽂이

방사선 줄기 배열로 표현하며 소재 각각의 개성보다는 전체의 모습으로 표현한다

3) 현대식 곷꽂이

넓은 정원을 연상시키는 풍경식 꽃꽂이 , 수평선과 수직선으로 직각 배열을 강조한 뉴컨밴션 꽃꽂이 ,
작은 보석들을 빽빽이 박아 놓은 것처럼 편평한 용기에 꽃과 잎 등의 소재들을 조밀하게
배치하는 파배식 꽃꽂이 등이 있다

가) 분식물 장식의 분류

분식물은 개화기에 일시적으로 이용되기도 하지만 , 대부분 지속적으로 이용된다
.분식물 장식은 배치되는 장소의 환경 조건이 매우 중요하다 .

(1) 실내 장식

분식물은 기본적으로는 용기와 토양, 식물 첨경물로 구성된다 .
실내 공간에 배치되는 분식물 장식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 , 색, 재질의 용기와 선택되는 식물의 종류 ㅡ 크기, 수, 그리고 이용되는 첨경물에 따라 다양하게 표현할수 있다 .

1) 규모에 따른 분류

분식물 장식은 용기와 식물의 크기, 식물의 수에 따라 소형에서 대형 단일배치에서 반복배치 ,
그리고 많은 수의 분을 배치하여 이루어진 분 정원과 대형 플랜터에 식물을 심어 수림을 형성한
실내 정원까지 다양한 규모로 이루어 진다

2) 용도에 따른 분류

실내용 분식물 장식은 업무용 건물 , 상업용 건물 내에서 다양하게 이루어 지며 건물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뱡식으로 표현되고 이용된다 .

3) 표현 양식에 따른 분류

분식물 장식은 절화장식과 마찬가지로 그 나라의 문화적인 특성에 따라 표현되는 양식이 달라진다 .
표현 양식은 크게 동양식과 서양식으로 나눌수 있으며
최근 한국의 분식물 장식에 있어서도 유럽식 양식이 도입되고 있다 .

4)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

분식물 장식은 용기의 형태 , 크기, 색 재질, 배수구의 유무에 따라 그리고 식물의 종류 , 크기, 수,
배치 방법에 따라 각양각색의 크기 , 형캐와 구성으로 제작 될수 있다 .

분식물 장식은 매우 다양한 형태와 크기 , 구성 양식 으로 이용되며 역사적으로 유행했던 형태에 따라
특정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

( 외울것)
a) 디쉬 가든
접시와 같이 넓고 깊이가 얕은 용기에 키가 작고 생육속도가 느린 열대식물을 심어 작은 정원을 만든것이다

b) 테라륨 , 비바륨, 아쿠아륨

테라륨~~ 밀폐된 용기속에 토양층을 형성하여 식물이 자라도록 만든것으로 최근에는 관리가 용이하게 하기 위해 완전 밀폐 시키지 않는다.

비바륨은 테라륨이 변형된것으로 식물을 심은 유리 용기속에 동물을 함께 생활하도록 만든것이다

아쿠아륨은 유리 용기속에 식물을 심고 연못을 만들어 거북이나 물고기를 넣어서 같이 키우는것으로
수생식물을 넣어준다

c ) 바구니등의 가벼운 용기에 덩쿨 식물이나 조란, 바위취 등과 같이 포복 줄기에 어린 식물체가 달리는 식물을 심어 아래로 늘어뜨리며 키우는 형태의 분식물이다

d)토피어리

분식 토피어리는 용기에서 자라는 식물을 동물이나 구형으로 전정하여 형태를 만들거나 ,
철사나 나뭇가지를 이용하여 만든 틀을 용기에 부착시킨뒤 덩굴 식물을 심어 틀의 형태를 유인하여 키워 그 독특한 형태를 감상하는 분식물이다 .

e) 착생 식물 붙이기

틸란드시아속 식물을 비롯한 파인애플과 식물이나 난과 식물과 같은 착생식믈은 나뭇가지나 돌에 뭍여 용기에 담거나 매달아서 장식에 이용한다 .

f) 수경 재배

장식을 목적으로 하는 수경 재배는 토양 대신에 식믈을 지지할수 있는 배지와 물을 넣어
인위적으로 양분을 공급하면서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

g) 실내 정원

실내 정원은 분식믈을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분 정원을 꾸미거나
건축물애 부착된 플랜트를 식물에 심는 방법이 있다 .
소규모의 플랜트에 심는 방법에서 아트륨에 심는 대규모 수림까지 다양한 규모로 이루어진다 .

主 : 틸란드시아
파인애플과 식물로서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하며 400여종 이상이 있다 아나나스과의 제일 큰 속이다
착생하거나 자생하기도 하며 나무에 매달려 생육하기도 한다 .

主: 플랜트

여러가지 다양한 꽃들과 식물을 심는 화기로서 디양한 재질로 구성 되어 진다 .



참고문헌 : 화훼장식 기술 1 ( 경기도 교육청 )

   ☞ 클릭하시면 수험정보.시험일정 무료자료 배포중.

   ☞ 클릭하시면 수험정보.시험일정 무료자료 배포중.

   ☞ 클릭하시면 수험정보.시험일정 무료자료 배포중.

출처 : 취업&자격증 뽀개기
글쓴이 : 하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