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생활원예] 12강 -간이 수경재배 (강의내용 정리)
12강- 간이 수경재배
<용어정리>
※점적관수(drip-irrigation, trickle irrigation): 수분절약형 관수방법으로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관수할 수 있어 현재 시설원예식물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파이프나 튜브에 가는 구멍을 뚫어 튜브끝에서 물방울이 똑똑 떨어지거나 또는 천천히 흘러나오도록 하여 근권주위의 토양을 집중적으로 적시게 하는 관수방법이다.
※저면관수(sub-irrigation): 파종상이나 분화식물 등에 관수할 때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밑면의 배수공을 통해 물이 스며들어 위로 올라가도록 하는 것으로 표토의 유실과 경화, 토양에 의한 오염, 토양전염성 병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EC): 영양액중 전기흐름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온이 많으면 전기의 흐름이 좋아지고, 그 수치는 커지게 된다. 영양액의 농도를 편의적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며 단위는 dSㆍm-1이다.
※고형배지경: 고형배지의 사용 여부에 따라 액상배지경(순수수경)과 고형배지경(배지수경)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고형배지경은 배지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로 구분되며 (예: 역경, 사경, 우레탄경, 암면경, 펄라이트경 등), 토양과 마찬가지로 식물의 뿌리에 물, 양분, 및 산소를 공급하고, 식물을 지탱하는 기능을 갖는다.
※암면(rockwool, rockfiber): 광물성 섬유의 일종으로 현무암, 휘록암, 석회암, 및 코크스를 혼합하여 1,600℃에서 용해시킨 후 부풀려 섬유화 시킨 다음 적절한 밀도로 성형화시킨 것이다. 주성분이 SIO3, CaO, Al2O3, MgO로 되어 있는 불활성 무기물로 지름 3~10 μm의 균일한 유리섬유이다. 암면은 공극률이 85% 전후로 통기성, 보수성이 뛰어나 수경재배용 배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펄라이트(perlite): 진주암을 잘게 부순 후에 1,000 ℃이상 고온으로 가열하여 팽창시켜 스폰지 구조로 만든 흰색의 입자이다. 무게는 L당 80~130g 정도로 매우 가볍고, 완전 무균상태이며, 자체 무게의 약 3~4배 정도의 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통기성, 보수성, 배수성이 좋아 수경재배의 배지로 널리 사용된다.
※코코넛 코이어(coconut coir) :
coconut(Cocos nucifera L.) 과실의 가는 중과피 또는 껍질을 구성하는 섬유이며, coir dust(‘코코피트’라고 함)는 상업적으로 가치가 높은 긴 섬유가 제거된 후 남는 부산물이다. coir dust는 매우 가볍고, 높은 압축성과 보수력을 가지며, 통기성 및 투수성이 뛰어나 수경재배에 그 활용성이 높으며, 환경친화적인 배지로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1. 수경재배의 이해
* 감자가 30일 지나면 비대해 진다.
*가정의 옥상, 주방, 발코니 또는 가정용 간의 온실에서 간단한 수경 장치를 이용하여 연중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2. 간이 수경장치의 구성
*급액과 배기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간이 수경재배 세트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재료들로서 베드, 배지, 탱크, 타이머, 수중펌퍼, 튜브, 비료등이 있다.
3. 간이 수경장치의 종류
*담액수 경방식은 가정에서 간편하고, 안정적인 잎채소를 재배할수 있는 방식으로, 실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순환식 담액수경재배 세트를 이용한 상추 재배의 상황을 보여 주고 있다.
*NFT 방식은 많은 잎채소, 허브식물 및 딸기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뿌리에 산소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씨감자 생산에 기본이 된다.
*씨감자 생산의 온실
4. 영양액의 조성과 관리
*무기양분의 흡수가 가장 활발해지는 pH5.5~6.5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수시로 체크해야 한다.
♥ 영양액관리(Ⅱ)
-양액의 온도
․ 최저 15°c 이상
․ 최고 25°c 이하
․ 고온성 과채류 20~25°c
․ 저온성 과채류 18~22°c
5. 간이 수경장치의 실재
* 상추, 치커리, 엔디브, 쑥갓과 같은 잎채소 재배는 주로 담액수경이나 박막수 경방식을 많이 선택하고 있다.
* 토마토 재배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경재배방식은 고형배 지경으로 이 중에서 펄라이트와 암면, 코코피트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 수경용 허브는 그 대상작물이 정유나 말려서 사용하는 조미료 식물이 아니라, 신선한 상태의 샐러드로 이용할수 있는 작물이다.
<요점정리>
1. 수경재배는 ‘토양 이외의 여러가지 배지 혹은 무배지 상태에서 식물에 필요한 양ㆍ수분을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2. 간이수경재배는 재배가 어려운 지역이나 소규모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연중 청정재배가 가능하며, 자동화로 관리 노력을 줄이고, 주위에서 쓰지
않는 재료를 재활용 하여 값싸게 설치할 수 있다.
3. 간이수경재배의 장치의 설비는 크게 작물을 심는 재배조(베드), 영양액을 담는 탱크, 영양액을 급액하거나 배액하기 위한 펌프와 배관으로
구성된다.
4. 간이 수경재배방식은 배지의 사용유무에 따라 순수 수경재배와 배지재배로 나눈다.
※ 한 문제씩 풀어 보시고 괄호 안에 마우스 드래그로 정답을 확인해 보세요
연습문제(12강)
1. 간이 수경재배의 장점이 아닌 것은? ( ② )
①연작장해를 받지 않는다.
②배양액의 완충능이 작다.
③청정재배가 가능하다.
④소규모의 공간을 이용할 수 있다.
2. 분무수경(aeroponics)의 특징을 잘 나타낸 것은? ( ③ )
①양액량이 많아서 pH와 EC변화가 적다.
②무기 또는 유기배지를 사용한다.
③뿌리에 원활한 산소공급을 할 수 있다.
④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방법이다.
3.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조절이 가능한 것은? ( ③ )
①영양액내 용존산소의 양
②영양액내 이온의 개별적인 농도
③영양액내 이온의 전체적인 농도
④배양액내 수소이온의 농도
★더 보충할 내용이 있으시면 답글로 부탁 드림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