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핵심 화훼장식기능사 실기 Lesson VI. 꽃다발(Handtied bouquet)_장은옥

봄춘 2012. 5. 8. 00:33

스타강사 장은옥의
핵심 화훼장식기능사 실기

                                                                                                             월간플로라 7월호에 연재된 내용입니다.

 

 

Lesson VI. 꽃다발Handtied bouquet
 꽃들을 사용해서 다발을 만든 것으로, 크게 감상용과 선물용으로 분류한다.  꽃다발은 이집트 시대에서부터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으며 초기에는 현대에 꽃다발을 사용하는 용도 보다는 신들에게 올리는 제사 등의 특정한 행사에 사용되거나 향기를 이용한 기능적인 역할이 더 컸다.  사람들은 작은 꽃다발들을 몸에 지니고 다니면 몸에서 나는 악취를 막아주며,  질병이나 액운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손에 작은 꽃다발을 들고 다니거나 옷들을 장식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어왔다. 그 외에도 장례나 결혼식 등 각종 행사에도 점차 꽃다발의 사용이 늘어갔으며,  최근에는 상업적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꽃장식의 형태이기도 하다.  

 

<기술적 요구사항>

나선형 꽃다발Spiral
줄기는 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움직여야 한다.
줄기의 끝부분은 물속에 잠길 수 있도록 길이가 어느 정도는 일정해야 한다.
줄기의 끝은 모두 반드시 사선으로 잘라져 있어야 한다.
바인딩 포인트는 단단히 묶어서 꽃이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한다.
바인딩 포인트(묶는 점) 의 아래에는 잎이나 불순물이 붙어 있어서는 안 된다.
형태와 상관없이 좌우 균형이 잘 맞아야 한다.

 

 

병행 꽃다발 Parallel
 기본적인 조건은 나선형 꽃다발과 같다.
 바인딩 포인트가 1개 이상인 경우도 있다.
 바인딩 포인트가 장식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부분이 보이는 화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 꽃다발의 일반적인 종류>

일반적인 장식적인(Decorative) 꽃다발
 사용하는 소재는 크기와 운동성이 다른 것을  높낮이(깊이감)있게 배치한다.
 큰 꽃다발에는 큰 꽃을, 작은 꽃다발에는 작은 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촘촘히 배열하더라도 하나의 식물이 필요로 하는 공간은 있어야 한다.
 중심에는 가치가 큰 꽃을 배치하고 가장자리는 늘어지거나 굽어진 식물을 배치한다.

 

비더마이어(Biedermeier)
1845년경에 빈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공간이 전혀 없고 꽃의 얼굴이 밀집되어 있어 약간은 답답한 느낌이다.
부러진 꽃도 사용 할 수 있어 실용적인 것이 장점이다.

 

구조물(프레임)이 있는 꽃다발
구조물은 만들고자 하는 꽃다발과 형태상의 통일성이 있어야 한다.
너무  촘촘하게 제작하면 꽃이 들어갈 자리가 없게 된다.
구조물의 운동성을 꽃이 방해해서는 안 된다.
구조물이 대칭으로 만들어져도 꽃은 비대칭으로 들어갈 수 있다.
충분한 공간을 주어 투명 감을 주는 것도 좋다.

 

선-형의 꽃다발(Formal-liner)
일반적으로 비대칭의 형태로 많이 만들어 진다.
작은 종류, 작은 양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작은 양을 사용하기 때문에 평범한 소재 보다는 특수한 형태를 가진 소재가 좋다.
선과면, 선과 형태, 형태와형태의 대조를 통해 강한 긴장감을 유발한다.
강한 색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긴장감을 강조한다.
 
병행 꽃다발(Parallel)
한 개 이상의 바인딩 포인트를 가지고 있다.
수평형, 사선형, 수직형의 병행 모두 제작 가능하다.
바인딩 포인트가 장식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부분이 보이는 화기를 선택하는 것이 병행의 특성을 살려줄 수 있다.

 

 

원형 꽃다발의 제작

 소재 : 장미, 과꽃, 스토크, 유스토마(리시안서스), 레몬잎

     

 1. 줄기가 나선형이 되도록 중심에서부터 잡는다. 
(줄기가 서로 교차되면 바인딩 포인트가 두꺼워지고 쉽게 줄기가 부러지게 된다.)

2. 전체의 줄기가 엉키거나 교차되는 것이 없는지 확인하여 둥근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3. 줄기를 라피아나 노끈으로 단단하게 묶는다. 

   (줄기가 단단하게 묶이지 않으면 묶은 후에도 형태가 변한다.)

4. 줄기의 끝은 전체에 비율에 맞도록 가위로 한번 자른 후 칼로 사선이 되도록 정리한다. 
   (줄기의 끝을 사선으로 깨끗하게 절단해 주어야만 물올림이 원활하다.)

 

 

 

구조물이 있는 원형 꽃다발의 제작  

소재 : 용버들, 장미, 나리, 레몬잎, 아스파라거스 플루모서스, 호엽란, 아게라툼

 

1. 용버들로 둥근 형태가 되도록 가는 철사로 묶어가며 고정한다.      2. 전체의 형태가 둥글게 되도록 구조물을 완성하되 지나치게 빽빽하거나

                                                                                               공간이 없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중심에서부터 꽃을 넣어 구조물과 꽃들이 조화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4. 구조물과 꽃들을 배치하여 완전히 형태가 구성되었는지 확인한다.

 

 


5. 줄기를 라피아나 노끈을 이용해 단단하게 묶어준다.                      6. 줄기의 끝은 전체에 비율에 맞도록 가위로 한번 자른 후 칼로 사선이

                                                                                                 되도록 정리한다. 

 

 

장은옥
관인 한국화훼디자인학원 원장(02-529-1551, http://www.flowerstudy.com/)
단국대학교 환경원예과, 아주대학교 평생교육원 등 강의
국가기술자격 화훼장식기사·기능사 심사위원
실내원예조경사 1급, 컬러리스트 기사, 화훼장식 기사AIFD 정회원, WAFA 정회원대한민국 화훼장식 기능경기대회 대상 노동부 장관상 수상
저서 <화훼장식기능사 필기문제>, <화훼장식기능사 필기시험 총정리>, <화훼장식기능사 실기시험> 이상 수풀미디어, <화훼장식기사 필기> 크라운출판사 외 다수

자료제공_수풀미디어

출처 : 월간 플로라와 함께하는 플라워뉴스
글쓴이 : 꽃이 하고픈 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