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꽃예술사

봄춘 2012. 4. 11. 23:59

동양 꽃예술사

동양식 꽃꽂이의 기원은 대부분 민족신앙을 바탕으로 신에 접근하는 실용적 목적으로 사용한 것에 두며 예술적인 조형미를 갖춘 시기는 불전헌공화인 B.C. 460년경이다.

인도⇨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해진 공화는 각국의 생활양식 및 건축양식에 맞게 발달하여 오늘날의 동양식 꽃꽂이 모체가 되었는데 일본은 한국에서 전래된 공화를 15세기 중반부터 꾸준히 화도 및 예도로 체계를 확립하고 세계 각국으로 전파하는데 힘썼으며 그결과 일본이 동양꽃 발생지인것 처럼 잘못 인식되고 있다. 일본은 우리 중국보다 이론적으로 체계화시켰으므로 우리도 이론적 체계 확립과 세계적 홍보가 필요하다. 일본에는 20개의 주류파와 3000개의 류파가 있고 여가선용과 정서생활 함양을 위해 여성의 수양도로서 다도 서도와 함께 혼전의 준비 교과목으로 되어 있다. (1년에 100만명 교육)

동양꽃꽂이의 특징은 화려하지는 않으나 미적 표현요소인 선을 다양화시킴으로서 내면의 미를 느끼게한다. 선의 종류는 유연하고 섬세한 느낌을 주는 곡선을 애용하였음며 천, 지, 인 3골격을 주지로 하여 작품의 높이 넓이 깊이를 결정하고 나머지 공간은 종지로 처리하였다.

서양 꽃예술사

고대(Bc2800) 이집트시대에 신전을 장식하고 공양한 것에서 유래하였다.

이집트→ 그리스→  로마→프랑스→ 영국→ 미국으로 전래되었다.

이집트- 벽화 (연꽃 연꽃봉오리 삼존형식 수반), 꽃목걸이와 꽃다발을 생활 속에 이용

그리스- 많은 종교의식에 신전 제물로 꽃을 뿌렸다. 경기 승리자에게 화환과 꽃관을 주었고 

          신부는 깨어지지 않는 사랑의 약속으로 아이비(ivy)를 들었다. 꽃줄도 사용 되었다.

로마- 로마 신부들은 순종의 의미로 풀을 들었다. 문화 예술이 부와 권력 상징으로 모든 분야

          에서 무겁고 웅장하며 화려한 것이 특징이다.

비잔틴시대- 그리스 예술과 그리스도교리 혼합으로 종교적인 상징에 꽃이 장식되었고

                순결과 잡귀방지 의미로  혼례때 마돈나 백합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는 1980년   경 선교사로 인한 신식 혼례가 이용되었다.

  고딕시대- 12세기초 북부프랑스를 중심으로 발달하였고, 예술적 표현은 기독교적

                신앙으로 표현 되었으며 꽃의 수 문양, 형태는 종교의 상징성 의미를 지녔다.

르네상스(1400-1600)- 경제적 여유를 바탕으로 국가 교회 행사때 꽃다발, 화병꽂,

               화관 꽃바구니 형태가 사용되었다. 고전적 바탕위에 기본형이 발달한 시기다.

영국- 19세기(1800)에 미국에 전래된 꽃꽂이는 자연스럽게 핀꽃을 물리적 수단으로

          자연에  없는 인위적인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였다.

           웨스턴은 일상 생활 속에 전통적 양식으로 전해 내려온 조형적인 양식화이다.

          유럽피안은 전통적인 것을 탈피 하고저 하는 개혁적 스타일이며 독일의 플로리스트들

          이 만든 상품화이기도 하다. 유럽피안 스타일의 특징은 식물 자체의 자연성을

      중시하 여 식물 원래의 모습, 형태, 성질, 움직임, 약동감 등 꽃의 특성을 살려 구성하였다.

한국 전통 꽃예술사

원시시대 신에 접근하기 위해 무제의식 때 꽃과 나무를 사용한 것에 기원을 둔다.

원시시대: 입대목현령고사신(立大木懸鈴鼓事神) (삼국지 위지동이전 마한조)에서 큰나무

                를 세우고 신에게 제를 올린 것을 알수 있다. 오늘날 서낭당이 잔재이다.

고대(삼국): 불전공화가 전래된 시기며 입체감 있는 조형예술로 발전된 시기다.

            문화이전의 원초적형태는 선적인 구성이었으나 삼국시대는 선과 양감적인 형태가

           공존한 시기다.

중세(고려): 벽화, 문헌인 고려도경 고려사. 고려사절요(청자와 불화제작)와 유물이 있다.

            꽃을 사용한 의식은 다음과 같다.

1.왕비왕태자책봉식<대화>

2.궁중연회< 장식용 화안.대화 >

3.연등회, 팔관회

4.꽃하사-기로연시 연폐로 사용  (재추8가지. 3품관원 6가지)             

꽃 관리 담당 관직: 화장(화장은 벼12섬), 선화주사, 권화사, 압화주사, 인화담원.

                   가화의 발달한 시기다.

(근세)조선: 문헌으로는 조선실록, 국조오례의, 의궤 등이 있으며 유학자 실학파들에 의한 원예서적 강희안의 양화소록, 허균의 성서복부고, 홍만선의 산림경제,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 서유구의 임원십육지(화품조 절지조)와 궁중화가 있다.

                

1.행사장 꽃장식: 화준, 화안, 화가, 화대

        왕실혼례식준화 한쌍을 꽂았고, 봄에는 모란, 가을에는 국화, 겨울에 대나무를 장식했다.

        (가례도감의궤)

2.가무를위한 꽃장식

3.상화(잔칫상 장식)

4.헌화, 산화, 가례, 사신, 기타 잔치 의례식

5.관직 화장.조화를 만드는 전문직이 있었음

분화관제도: 궁중의식에 꽃을 올리고 나눠주고 꽃고 관리하는 임시관직

출처 : debolagh
글쓴이 : debolagh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