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화서란
화서란 화축에 꽃이 붙어 있는 배열 상태와 꽃이 집합한 것을 말한다. 즉 꽃이 어떻게 붙어 있는가를 말한다. 화서를 이루는 각각의 꽃을 소화라고 한다. 화서는 유한화서와 무한화서로 나누어진다.
유한화서는 선단 또는 중심부의 꽃이 먼저 피는 특징이 있다. 즉, 먼저 핀 꽃이 위에 붙고 밑으로 내려오면서 피는 것을 말하며 다른 말로 취산 화서라고도 한다. 유한 화서의 종류는 리아트리스, 범부채, 베고니아, 율무, 숙근안개초, 미역취, 오이풀 등이 있다.
무한화서는 화축의 아래쪽 또는 바깥쪽 꽃부터 개화하기 시작하여 점차 위쪽 또는 안쪽을 항해 피는 것을 말한다.
가. 총상화서 - 화서축이 길게 자라고 소화경을 가지고 있고 소화가 위쪽을 향해 발생하며 분지는 하지 않는다. - 히야신스, 팔레놉시스, 심비디움, 옥잠화, 유채, 색양배추 나. 수상화서 - 총상화서와 비슷하지만 소화경이 거의 없다. - 글라디올러스, 프리지아, 익시아, 맥문동 다. 산방화서 - 총상화서와 비슷하나 소화경이 길며 상부로 갈수록 소화경이 짧아지기 때문에 화서의 선단부가 소화경의 길이로 평편하다. - 수국, 조팝나무, 산사나무 등 라. 산형화서 - 화서축의 선단부에 우산살 모양의 소화경이 발생하며 화서의 선단부가 둥글다. - 파. 미나리, 석산, 아가판서스, 상사화, 알리움, 문주란 등 바. 원추화서 - 하나의 화서축에 총상화서의 분지한 형태로 화서 전체가 원추형이다. 남천, 쥐똥나무, 수수, 귀리, 억새 등 사. 두상화서 - 화서축이 단축되어 두상으로 된 화서축에 소화경이 없는 소화가 밀집되어 있다. 아. 집산화서(취산화서) - 화서축의 선단부에 소화경이 있는 1개의 소화가 발생하고 그 기부에 한쌍의 소화경이 발생하여 각각의 선단부에 다시 소화경이 있는 1개의 소화가 발생하는데 이 과정이 반복되면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화서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