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지 자르는 법 |
ⓐ 가위는 바르고 안전하게 잡는다. |
ⓑ 나뭇가지는 비스듬히 자르되 잎이나 눈이 있을 때에는 자른 면이 앞에서 보이지 않도록 자른다. |
ⓒ 가지의 윗 부분을 자르는 법 |
ⓓ 가지의 아랫 부분을 자르는 법 |
ⓔ 두꺼운 가지를 자를 때에는 손도끼를 사용한다. |
 |
|
2. 가지 구부리는 법 |
ⓐ 누르면서 구부리는 법 : 엄지 손가락으로 누르면서 가지를 구부린다. |
ⓑ 자르면서 구부리는 법 : 가위밥을 넣어가며 원하는 쪽으로 구부린다. |
ⓒ 비틀면서 구부리는 법 : 가지를 비틀어 구부린다. |
ⓓ 흝으면서 구부리는 법 : 예를 들면 갈대나 난잎 등은 손으로 흝는 듯이 구부린다. |
 |
|
3. 가지를 고정시키는 법 |
ⓐ 수반꽃 : 침봉을 사용한다. |
ⓑ 병꽃 : (1) 분할 고정법 : 원형 화병의 폭을 여러가지 형으로 분할하여 고정시킨다. |
ⓑ 병꽃 : (1) 분할 고정법 : (예 : #자형, +자형, T자형, Y자형, ㅡ자형) |
ⓑ 병꽃 : (2) 꺽어서 고정시키는 법 : 식물을 꺽어 구부려 고정시킨다. |
ⓑ 병꽃 : (3) T자 고정법 : 굵은 나뭇가지나 꽃 끝이 무거운 것을 고정시킬 때에는 가지의 아랫쪽을 반으로 ⓑ 병꽃 : (3) T자 고정법 : 갈라서 딴 가지를 끼워 묶어 고정시킨다. |
 |
|
4. 물 올리는 법 |
ⓐ 물속에서 줄기의 끝을 자른다. |
ⓑ 줄기의 끝을 불에 살짝 굽는다. |
ⓒ 끊는 소금물에 살짝 담근다. |
ⓓ 연꽃처럼 줄기에 공간이 있는 것은 펌프로 물을 주입시킨다. |
ⓔ 가지 끝을 가위로 두두린 후 소금이나 백반을 바른다. |
ⓕ 화공 약품의 용해액에 살짝 담갔다가 꺼낸다. |
 |
|
※ 꽃꽂이의 기본 가지의 명칭 |
꽃꽂이에는 기본이 되는 세 개의 주지 가지가 있다. 이것들의 명칭을 |
제 1 주지 - 진(眞) -
 |
제 2 주지 - 부(副) -
 |
제 3 주지 - 체(體) -
 |
라고 칭한다. 이 세 주지 가지를 부등변 삼각형으로 구성한다. |
|
수반꽃과 병꽃의 기본 화형의 구분은 진 가지의 경사에 따라 직태(直胎), 사태(斜態), 수태(垂態)의 세가지로 구분한다. |
① 직태형 : 진의 끝가지의 경사가 수직선에 대해서 좌우 30도 이내에 있는 형 |
② 사태형 : 진의 끝가지의 경사가 수직선에 대해서 30도에서 90도 사이에 있는 형 |
③ 수태형 : 진의 끝가지의 경사가 수직선에 대해서 좌우 90도 이상에 있는 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