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요점정리
※ 화훼장식 디자인 요소
1. 선(Line):가장 1차원적인 형태, 시각적 움직임을 만들어 낸다. 정적인선과 동적인 선으로 분류, 선의 반복으로 새로운 리듬과 형태가 생긴다.
1) 선의 종류
(1) 정적인 선
① 수직선 : 근엄하고 엄숙한 이미지, 수직적 운동감이 강하게 표현
② 수평선 : 조용하고 안정적인 이미지. 높이보다 폭이 강조된 형태
(2)동적인 선
① 사선 ; 운동성이 가장 강한 동적인 선
② 곡선 : 동적인 선으로 분류되지만 사선에 비해 부드럽고 편안하다.
2) 디자인에 사용되는 선
(1) 선을 강조한 디자인 : 작품 전체의 선을 강조하고 선의 긴장감을 통해 작품의 흥미 유발 (2) 선을 이용한 액센트 : 작품 속에서 액센트 역할로 선을 사용, 흥미를 유발시키고 공간감을 더하는 역할
(3) 선을 이용한 형태 : 여러 선들이 반복.겹쳐 의도적인 형태를 만들어 내는 것. 하나의 선 특성은 사라지지만 새로운형태가 만들어진다.
2. 형태 : 삼차원적인 모양,윤곽, 길이, 폭,깊이감을 가진다. 대칭,비대칭,앞면 위주,전체위주로 나누어진다.
1)형태의 종류
(1)외곽선에 따른 분류
① 닫힌 형태 : 디자인에서 공간이 거의 없도록 꽃이나 식물을 이용해 가득 채운 외곽선
② 열린 형태 : 식물과 식물 사이 공간을 많이 가지고 있어 외곽선보다 식물의 특성이 돋보인다.
(2) 디자인에 따른 분류
①전통적 형태 : 생활속에 꽃과 함께 시작하던 시대부터 사용, 공간이 거의 없고 형태가 뚜렷 -방사상의 형태, 안정적이고, 뚜렷한 형태, 전통적인 꽃을 이용
②응용 형태 : 전통 형태에 변화를 준 형태로 공간이 많다. -형태는 명확, 전통적 형태의 성격을 많이 가지고 있어서는 안된다.
3. 질감 : 시각적 특성, 재료의 표면구조
1) 질감의 종류
(1)부드러운 구조
① 비단효과 : 동백, 코스모스, 양귀비 ② 빌로드,울 : 베고니아, 장미, 수국
(2)딱딱한 구조 ①금속 : 헬리코니아, 극락조화, 호야, 안스리움 ② 도자기 : 백합, 치자꽃, 자스민, 연꽃
(3) 거친구조 : 해바라기, 스타티스, 편백
2) 특성 ① 한 가지 색으로 디자인 하는 경우 질감으로 리듬을 만들 수 있다. ② 하나의 작품에 많은 질감을 사용하면 그 특성을 잃을 수도 있다. ③ 질감과 색을 동시에 돋보이게 하기는 어렵다.
★ 질감의 대비를 통해 작품이 더울 돋보일 수 있으며 촉각보다 시각적인 것이 더욱더 중요하게 작용
4. 색 : 디자인에서 꽃이나 형태보다 가장 먼저 발견되는 요소. 이미지, 감정 유발, 주변색이나 광언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므로 주의가 필요
(1) 색의 3속성
①색상 : 빨강, 노랑과 같이 서로 구별되는 특성 ②명도 : 색의 밝고 어두움 정도 ③채도 : 색이 가진 순수함 정도
(2)색의 조화
①단일색 조화 : 한가지 색상에 다양한 색조 사용 ②유사색 조화 : 인접한 3가지 색상에 다양한 색조를 사용. 단일색 조화보다 부드럽고 풍부한 느낌 ③보색 조화 : 색상환에서 반대되는 두가지 이상의 색조화. 흥미롭고 다양한 느낌, 자칫하면 강렬해 보일수 있다. ④인접 보색 : 색상환에서 주색과 반대되는 보색의 이웃한 두색을 함께 사용 ⑤삼색 조화 : 색상환에서 같은 간경에 위치한 색의 조화. 색의 사용에 따라 풍부한 기능성을 소유
5. 공간 : 작품이 가지고 있는 3차원의 영역. 꽃 화기, 빈공간 모두 포함. 꽃을 더 돋보이게하고 마음의 여유를 준다.
1) 공간의 종류
(1)전체공간 : 작품이 놓이는 전체 공간. 작품이 차지하는 공간과 주변 공간이 모두 포함
(2)디지인 할 공간 : 순수하게 작품이 차지하는 공간.디자인할 공간과 작품이 놓여질 공간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완성도 떨어진다.
①양화적 공간 : 재료가 차지하는 공간 ②음화적 공간 : 재료가 차지하지 않는 부분 ③열린공간: 그룹과 그룹사이의 공간, 재료와 재료를 연결해주는 공간, 양화적 공간.음화적 공간을 돋보이게 한다.
2)공간의 효과
① 식물의 주변의 음화적 공간으로 인해 더욱 돋보이게 한다. ② 중심점에서 가장자리까지 점차적인 공간이 확보된 경우 균형의 안정감을 가진다. ③ 공간의 반복을 통해 리듬을 만들 수 있다.
※화훼장식 디자인 원리 1. 비율 비례 : 디자인 전체와 한부분의 비교 관계(양,크기,색)→황금비율
◈황금 비율 : 1:1.618…, 플라워 디자인에서는 황금 비율롸 가장 근접한 비율 3:5:8(1:1.6)로 사용 ★오늘날에는 황금비율만큼이나 과대.괴소비율도 많이 사용 2. 균형 : 물리적,시각적인 안정감. 수직축을 기점으로 양쪽이 같은 무게로 구성되는 것이 좋은 균형. 비대칭 균형도 좌우의 무게 균형이 이루어져야 하며 좌우의 평면적 균형도 중요하지만 모두 무게 균형에 맞아야 함.
1)물리적 균형 : 작품의 구성요소간 실질적인 무게 균형. 꽃의 무게와 이것을 감당할 적당한 크기의 화기가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안정감을 이룸
2)시각적 균형 : 눈으로 보여지는 균형. 질감에 색에 의해 많이 달라짐
(1) 대칭 균형 : 수직축의 양쪽에 동일한 무게와 동일한 형태가 배치
(2) 비대칭 균형 : 물리적 중심축을 수직축의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비 대칭적인 균형을 만든다. 중심축의 왼쪽과 오른쪽에 각기 다른 형태와 크기가 배치되지만 시각적인 균형은 맞아야 한다.
3. 리듬 : 작품의 일부분을 반복, 변화를 통해 만들어 지는 움직임, 흐름. 작품의 재미를 불어 넣을 수 있다.
◈리듬을 만드는 방법
① 반복 : 리듬은 색,형태, 선의 반복에 의해 생겨나며 줄규칙한 반복은 재미있는 리듬을 만들기도 한다. ·색의 반복 : 같은 색상, 비슷한 명도·채도를 반복해서 ·형태의 반복 : 꽃의 모양이나 특수한 형태를 작품 속에서 반복 사용 ·선의 반복 : 특정한 선(곡선,직선,사선등)의 반복을 통해 ② 연계 : 점진적인 전화, 변화를 통해서 만들어 지는 리듬. 시퀀싱,그라데이션의 경우 점진적인 소재의 크기나 색의 변화를 보여줌 4. 규모 : 디자인과 디자인이 사용될 환경의 비율. 장소 전체의 크기에 따라 놓여질 작품 크기도 달라져야 함. 용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짐.
★ 규모에 영향을 주는 요소 : 공간의 높이, 공간과 작품의 비율, 색의 비율, 질감의 비율, 화기와 꽃
5. 대비 : 두 개 이상의 요소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 색이나 형태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남.
★대비 : 색,형태등 주변에 있는 것과 반대적 성향으로 가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6. 강조 : 작품의 요소(형태,크기,색등)중 강조하고자 하는 한 부분.
◈강조부분
①Focal Point : 가장 뚜렷하게 강조가 되는 지점. 가장크고 아름다운 꽃, 형태가 특이한 꽃 사용 ②Focal Area : 강조가 되는 구역으로 Focal Point를 포함하는 경우도 있지만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③Accent : 작품을 돋보이게 하거나 작은 흥미 유발
7. 통일감 : 작품 전체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연관성. 전체의 조화를 위한 이미지 단일화.
1)통일감의 표현 방법
(1)규칙(근접-Proximate) : 규칙성을 부여하는 것, 같은 간격, 비슷한 꽃 질감, 형태, 크기등으로 표현 (2)반복(Repetition) : 통일감을 얻기위해 많이 이용. 색, 크기, 선등을 반복해 전체의 연관성을 얻게 된다. (3)연계(Transition) : 특정한 요소와 전혀 다른 요소가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부분을 추가해 통일성 얻는 방법 8. 조화 : 작품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 전체의 공간과 하나의 작품이 서로 잘 어울리게 구성되는 것.
◈ 조화를 이루기 위한 고려사항 ①작품 전체와 각각의 요소들이 가지는 비율 ②크기,모양,질감,색과 주제의 적합성 ③놓이는 장소와 작품의 분위기, 계절의 적합성 ④화기와 사용될 꽃
※화훼 장식품의 표현 기법
1. 밴딩 : 특별히 강조해 주고 싶은 줄기나 가지를 더욱 돋보이게 하기 위해 사용. 컬러 와이어, 라피아등 반복적으로 묶어 돋보이게 한다. 2. 바인딩 : 소재들을 기능적으로 단단히 묶은 것. 대부분의 꽃다발은 가지고 있다.장식이 아닌 기능적으로 묶어주지만 파랄렐은 예외 3. 번들링 : 비슷한 재료를 모아 단단히 묶는 것. 여러지점에서 묶일 수 있다. 짚이나 건초를 크게 한덩어리로 묶는것도 속한다. 4. 레이어링 : 면을 가진 소재를 차례로 겹쳐 부피, 큰면을 만들어 주는 것, 작은 소재라도 입체나 면희 표현이 가능 5. 테라싱 : 깊이감 있는 베이싱을 위해 거베라 같은 면적인 소재를 계단 모양으로 차례로 배치하는 것. 베이싱이 지나치게 납작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시각적인 경로를 제공 6. 그루핑 : 같은 종류 성격을 가진 꽃(유사한꽃, 같은색, 유사색등)을 모아 배치하는 방법. 깨끗하고 정리된 느낌(그룹과 그룹사이 공간필요) 7. 클러스터링 : 하나씩 사용하기에 너무 작고 가치가 낮은 소재를 뭉치로 꽂아 색, 질감등이 돋보이게 하는 기법 (작은 국화) 8. 조닝 : 비슷한 성격의 소재들을 일정 구역안에 배치하는 것. 그루핑보다 조금 큰 개념. 크루핑들이 모여 하나의 존이 되기도 함 9. 프레이밍 : 특정한 부분이나 작품의 전체가 돋보이도록 선이나 면적인 소재를 둘러싸거나 소재의 시각적 연장선으로 둘러싸인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법. 포컬 포인트 부분 강조하기도 함 10. 쉐도잉 : 깊이감.입체감이 필요한 경우 같은 소재를 가깝게 배치해 그림자처럼 보이기 하는 방법.같은 소재간 간격을 멀리두지 않도록 조심 11. 시퀀싱 : 소재의 형태, 크기,색,질감등 점진적으로 배열하는 방법. 크고 어두운 소재는 중심쪽, 작고 밝은 소재는 가장자리 사용해 점차적인 소재의 변화를 통해 시각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