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꽃 속의 꽃 ‘백일홍’
만다라를 떠올리게 하는 ‘백일홍’
‘백일홍’ 처녀가 죽은 곳에 백일 간 핀 꽃
[초보자의 야생화 따라잡기 20] 백일홍
꽃 속에 또 꽃을 간직한 백일홍.
백일동안 붉게 피어 있는 백일홍. 백일홍을 들여다보면 그 안에 또 꽃이 피어있습니다. 꽃 속에 꽃이 피어있는 셈이지요. 보통 꽃에는 우주의 신비가 담겨있다 합니다. 이로 보면 백일홍은 우주 속에 또 다른 우주를 담고 있는 거지요.
하여, 백일홍을 보면 에너지의 원천으로 우주를 상징하는 그림 ‘만다라(曼茶羅)’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습니다.
만다라는 “정신을 집중하게 함으로써 내면의 질서를 생성시키고, 내면의 자기에게 의미를 부여해, 내면의 화해와 전체성을 지향하는 안전한 피난처를 제공한다.”는 논리를 갖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융은 만다라를 중심과 더불어 둘레를 가진 ‘에너지의 원천’으로 여겨 미술심리치료에 이용하였습니다.
백일홍을 보면 이런 논리가 이해가 됩니다. 꽃 속에 또 꽃이 피어 있는 모습에서 중심과 둘레를 함께 가진 힘의 원천을 보는 듯합니다. 백일홍은 흰색, 노란색, 주홍색, 오렌지색, 엷은 분홍색 등 여러 가지 색깔로 6~10월에 피어납니다.
만다라 문양.
백일홍에는 전설이 스며 있습니다. 멕시코가 원산지인 백일홍에 전설이라니 의아하긴 하지만 사연이 있겠지요.
처녀가 죽은 곳에 붉게 백일 간 피어난 ‘백일홍’
동해 바닷가 어느 마을에 사는 처녀 ‘몽실’과 총각 ‘바우’는 서로를 아끼며 사랑했다. 그런데 이 마을은 해마다 백년 묵은 구렁이에게 처녀를 제물로 제사를 올려야 재앙이 생기지 않는다고 믿고 있었다.
어느 해 가을, 바우와 혼인을 앞둔 몽실이 제물로 바칠 처녀로 뽑히고 말았다. 이에 바우는 구렁이를 죽이고 몽실이와 행복하게 살아야겠다고 마음먹고 길을 떠났다. 떠나기 전 바우는 몽실이와 약속했다.
“백일 후에도 오지 않거나 배의 돛에 빨간 깃발이 꽂혀 있으면 내가 죽은 거니까 도망을 가고 흰 기를 꼽고 오면 구렁이를 처치한 거니까 마중해 달라”
몽실이는 매일 기도를 하며 바닷가에서 바우를 기다렸다. 100일째 되는 날 드디어 멀리서 배의 앞머리가 보였다. 반가움에 달려가던 몽실이는 그만 그 자리에서 쓰러져 죽고 말았다. 배에 빨간색 깃발이 꼽혀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편, 배에서 내린 바우는 몽실이를 찾았으나 몽실이는 죽은 후였다. 몽실이를 끌어안고 울부짖던 바우는 무심코 배를 바라보게 되었다. 배에는 흰 깃발 대신 빨간 피가 묻은 깃발이 꼽혀 있었다. 구렁이를 죽인 기쁨에 들떠 피가 깃발에 묻은 줄도 모르고 그 깃발을 꼽고 온 것이었다.
몽실이는 피 묻은 깃발을 보고 바우가 죽은 줄 알았던 것이었다. 마을사람과 바우는 몽실이를 양지 바른 곳에 묻어 장사지냈다. 그런데 그곳에서 예쁜 꽃이 붉게 피어나 백일을 꽃피우다 졌다. 그 후부터 사람들은 이 꽃을 ‘백일홍’이라 불렀다.
하여간 백일홍은 ‘꽃 중의 꽃’ 장미와는 또 다른, ‘꽃 속의 꽃’이라 해야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