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S 색체계에 대해 알아보자. NCS(Natural Color System)는 오스트발트 섹체계의 개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1979년 스웨덴 색채 연구소에서 1,412색이 수록된 NCS 색표집(제1 집)을 발간하고, 1995년 2차로 1,750색이 수록된 NCS 색표집(제2 집)을 발간하였다. NCS 색체계는 헤링의 4원색 이론에 기초하여 색상을 노랑(Y), 파랑(B), 초록(G), 빨강(R)의 네 가지 색상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흰색(W)과 겅정색(B)을 포함하여 총 6색을 인간이 구별할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인 색이라 하여 기본색상으로 지정하였다. 그림 1은 기본 6색으로 구성된 NCS 색공간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1. NCS 색공간
그림 2는 순색을 원형으로 배열한 NCS 색상환이다. 기본색상 Y, B, G, R 이 상, 하, 좌, 우에 각각 위치하고, 두 기본색상 사이의 중간 색상은 10단계로 구분하여 총 40 색상으로 색상환을 구성하고 있다. 그림 3은 동일 색상을 지닌 색들을 배열해 놓은 NCS 등색상 삼각형이다. 삼각형의 위 꼭지점에는 이상적인 흰색(W)이 위치하고 아래 꼭지점에는 이상적인 검정색이 위치하며 오른쪽 꼭지점에는 이상적인 순색이 위치한다. 삼각형의 세로 변에는 흰색에 검정색 기미가 등 간격으로 증가하는 무채색들이 위치하고, 아래 빗변에는 검정색에 순색 기미가 등 간격으로 증가하는 유채색들이 위치한다. 삼각형 내부에는 검정색과 순색, 그리고 흰색 기미가 일정 간격으로 더해진 색들이 위치한다. 등색상 삼각형에서의 모든 색에 대해 검정색, 순색, 그리고 흰색 기미의 합은 100%가 된다. 즉 W(%) + S(%) + C(%) = 100(%)된다.

그림 2. NCS 색상환 그림 3. NCS 등색상 삼각형
따라서 NCS 색 표기는 검정색 기미(%), 순색 기미(%), 그리고 색상 순으로 나타낸다. 예 를 들어 S 2030-Y90R에서 S는 제2 집을 표시하고, 2030은 검정색 기미 20%와 순색 기미 30%를 나타낸다(그림 3 참조). Y90R은 순색의 색상을 기호화한 것인데, 기본색상 Y의 기미가 10%이고 기본색상 R의 기미가 90%인 순색을 나타낸다(그림 2 참조).
NCS 색체계는 먼셀 색체계에 비해 역사가 짧지만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다. 특히 등색상 삼각형에 포함되어 있는 색들은 질서와 조화롭게 배열되어 있어 색의 선택이나 배색에 편리한 색체계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등색상 삼각형에서 이상적인 검정색을 마주 보는 변에 배열된 색들은 모두 동일한 검정색 기미를 띠고 있고(등흑계열), 이상적인 흰색을 마주 보는 변에 배열된 색들은 모두 동일한 흰색 기미를 띠고 있다(등백계열). 그 외에도 등순 계열, 등가색환 계열 등으로 쉽게 분류된다. 각 계열내의 색들 혹은 계열간의 색들은 조화로운 배색을 이룬다.
뿐만 아니라 NCS 색체계에서는 색을 색상과 뉘앙스(Nuance)로 표현할 수 있다. 색상은 그림 4와 같이 8가지 색상 영역으로 구분하고, 뉘앙스는 그림 5와 같이 7가지 영역으로 구분한다. 흰색 기미가 주된 색들은 검정색 기미와 순색 기미의 정도에 따라 1과 2영역으로 구분하고, 순색 기미가 주된 색들은 흰색 기미와 검정색 기미의 정도에 따라 3과 4영역으로 구분하고, 검정색 기미가 주된 색들은 순색 기미와 흰색 기미의 정도에 따라 5와 6영역으로 구분하고, 색을 나타내는 주된 성분이 불분명한 색들은 0으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라 NCS 색체계에서는 색상과 뉘앙스를 조합하여 그림 6과 같이 총 56가지의 특징적인 색으로 구분된다.

그림 4. 그림 5.

그림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