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3. 화훼장식의 종류

봄춘 2008. 5. 14. 22:09


3. 화훼장식의 종류


(2)꽃다발(Bouquet)


꽃을 다발지은 것을 의미한다.

꽃다발(Bouquet)은 선물용 부케와 웨딩에 쓰는 신부부케로 나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축하용 또는 선물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1) 기원

부케라는 말은 불어의 작은숲 bosquet란 뜻으로 꽃이나 향이 있는 풀들의 묶음을 말한다.

꽃다발의 오랜기록은 고대 이집트왕조의 무덤에서 발견되었다고 한다.

중세시대에는 장식적인 역할보다는 기능적인 역할이 더 컸다.

몸에서 나는 악취를 막고 지병이나 액운을 막아줄 것이라 믿고 꽃다발을 들고 다녔다.


2) 꽃다발의 종류

① 장식적인 꽃다발 : 큰다발에는 큰꽃을, 작은 다발에는 작은 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② 비더마이어 꽃다발 : 둥근형태의 빽빽하게 채운 꽃으로 밀집되어 있다.

③ 구조물이 있는 꽃다발 : 구조물의 충분한 공간을 두어 투명감을 주는 것이 좋다.

④ 스트럭춰 꽃다발 : 색감이 두드러진 것 보다는 표면구조의 높낮이를 두어 질감을 잘 살리는 것이 좋다.

⑤ 포멀리니어 꽃다발 : 선과 면, 선과 형태의 대조를 통해 긴장감을 유발

⑥ 평행 꽃다발 : 바인딩 포인트가 1개 이상이어도 좋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3) 꽃다발의 기술적 요구사항


① 나선형 꽃다발(Spiral)

손으로 꽃과 소재의 줄기를 나선상으로 엮으면서 형태를 조절하여 만든 꽃다발을 말한다.


<만들 때 유의사항>

•형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단단히 다발지을 것

•다발을 묶는 곳은 되도록 가늘게 꼭 필요한 폭만으로 엮어서 단단히 묶어야 한다.

•줄기는 모두 비스듬히 같은 각도의 방향의 나선상으로 돌아가며 배열한다.

•바인딩 포인트로부터 아래쪽 줄기는 잎 등을 모두 깨끗이 하여야 한다.

•충분한 물올림이 되어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스탠딩부케 만들때 주의점>

•분명한 모양을 갖출 것

•구조물이 시각적으로 너무 무겁지 않을 것

•구조물이 꽃에 의해 지배되거나 혹은 구조물이 꽃을 지배하지 않도록 할 것

•디자인의 동기가 분명할 것(concept)

•테크닉이 안정적일 것

•작품의 부분이 연결이 잘 되도록 할 것

•비율을 지킬 것

•초점은 위로할 것

•꽃을 너무 묶어서 죄도록 하지 말 것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② 평행 꽃다발(Parallel)

•기본적인 요구도는 나선형과 같다.

•묶음점이 1개 이상이여도 된다.

•장식적인 묶음점일 때는 묶음점이 보이는 화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3) 꽃바구니(Flower Basket)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꽃바구니의 기원

꽃을 바구니에 꽃아 장식하는 것으로 고대부터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고정하기가 어려워 과일과 함께 장식하거나 건조화를 사용하였다.

1953년 미국에서 오아시스 회사의 플로랄폼의 개발로

꽃바구니 제작이 용이해지고 수명도 연장되게 되었다.

지금은 세계에 체인망이 생길만큼 활성화가 되었다.


2) 꽃바구니의 이용과 형태

주로 선물용으로 이용되며 상업적인 상품으로 가장 대표적이라 하겠다.

생일, 결혼기념일, 집들이, 입학식의 축하뿐 아니라 장례식 등

각종 행사에 없어서는 안 될 품목이다.

바구니의 형태는 자연적인 소재에서부터 철제, 플라스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모양도 낮은 것에서부터 높은 것, 둥근 것, 각진 것 등 용도에 맞게 시중에 많이 나와 있다.


3) 꽃바구니 제작시 주의사항

① 바구니 속의 풀로랄폼이 물이 밖에 흐르지 않도록 방수내지를 넣어 제작한다

② 플로럴 폼이 바구니속에 단단히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하며 이동시 안전해야  한다.

③ 꽃의 양과 바구니의 크기를 잘 조절해야 한다.



(4)코사지(Corsage)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코사지의 어원

코사지는 불어로 󰡐코르사쥬󰡑이며 작은 꽃다발이라는 뜻이다.

상의 의복에 다는 작은 꽃다발로서 신체에 꾸미는 화훼장식품이다.

코사지의 의미가 점점 커지면서 Body flower의 의미로 사용하는 장소에 따라 달리 이름 붙여지고 있다.


2) 코사지의 종류

① 헤어코사지 Hair corsage : 머리장식

② 숄더코사지 Shoulder corsage : 어깨 장식

③ 웨스트코사지 Waist corsage : 허리부분장식

④ 바스트코사지 Bust corsage : 가슴부위 장식

⑤ 백사이드코사지 Back side corsage : 등이나 여성의 뒷모습

⑥ 리스틀릿코사지 Wristlet corsage : 팔, 손목장식

⑦ 앵클릿코사지 Anklet corsage : 발이나 발목 뒷부분

⑧ 러펠코사지 Lapal corsage : 양장이나 저고리의 접은 옷깃

⑨ 부토니어 Boutonniere : 결혼하는 신랑의 가슴에 다는 꽃으로 리본을 달지 않는다.


3) 제작시 주의사항

① 사용하는 사람의 목적에 맞게 제작되어야 한다.

② 사용하는 사람의 체격, 크기도 알맞게 선택되어야 한다.

③ 빨리 시드는 꽃보다는 건조에 강한 소재를 선택해야 행사때까지 예쁜 모습을 볼 수 있다.

④ 가볍에 느껴지도록 제작해야 한다.

⑤ 부자재 선택시 핀이나 빗 등이 잘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⑥ 마지막 마무리 제작시 철사나 후로랄테이프 등이 깨끗이 정돈되어 인체나 옷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5) 화환(리스,Wreath)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화환의 기원

영어로는 리스(Wreath), 독일어로는 크란츠(Krantz), 한자로는 화환이라 불린다.

기원전 776 고대 올림픽 게임에서부터 사용되었다.

마라톤 선수의 승리를 축하해주는 장식품으로 월계수잎으로 화관을 만들어 씌여준 것이 계기가 되었다.

2) 화환의 이용형태

① 끝도, 시작도 없는 영원성의 상징인 영원한 삶을 의미하기도 하기 때문에 장례식에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② 크리스마스 장식용, 개업축하, 신부의 머리장식, 자동차 장식(웨딩카), 벽장식, 케이크장식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3) 화환제작시 주의사항

① 리스의 내부곡선과 외부곡선이 뚜렷이 나타나야 한다.

② 바닥면을 평면으로 제작해야 안정감있게 배치할 수 있다.

③ 기본의 형태가 원이므로 원의 형태를 잘 살려야 한다.

④ 목적에 맞게 제작되어야 하고 마무리 제작 부분들이 잘 정돈되어야 한다.



(6) 입식화환(Standing spray)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꽃집의 경제성 높은 상품이라 할 수 있다.

행사용 상품으로 관상기간이 짧고 이동성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에는 개량화환의 형태가 개발되고 있으나 많이 보편화되지 않았다.

결혼식장과 장례식장, 개업집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3단 화환, 2단 화환, 1단 화환의 형태가 있다.

입식화환의 형태나 꽃의 소재들 또한 일률적이고 변화가 없어 창조적인 느낌이 들지 않는다.

앞으로는 재활용도 가능한 분리형 오브제 등이 영구적인 소재로 쓸 수 있고

물올림도 용이한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야 겠다.



(7) 테이블장식(Table decoration)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 테이블 장식의 기원

고대 그리스 시대의 연회는 석양이 저물 무렵이라고 불리는 󰡐크리에󰡑란 긴의자 옆으로 편히 앉아 식사를 하였다.

고대 로마시대는 사교중심의 연회인 󰡐케네󰡑라고 불리는 상류계급의 식사법으로 신분이 낮은 자들에게는 허락치 않았다.

프랑스 테이블 장식의 역사는 루이 15세때 다이닝룸은 없었으나 센타피스(centerpice)가 크게 유행했다.

나폴레옹 1세때는 꽃과 양초 장식이 높에 제작되었다.

나폴레옹 3세때는 꽃과 양초 장식이 높지 않고 옆으로 확대되어 장식했다.


2) 테이블 장식의 분류

① 좌식테이블 : 수평디자인이 무난하며 낮고 긴 용기에 제작한다.

② 입식테이블 : 상대방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3) 테이블 장식 제작시 유의할점

① 장소가 실내인지 실외인지 확인하며, 행사의 시간이 밤인지 낮인지 확인한다.

② 행사의 내용을 확인하고 내용에 맞  는 장식을 해야 한다.

③ 테이블이 좌식인지, 스탠딩인지, 입식인지 확인하고 컨셉에 맞춰 소재 선택하고 화형을 정한다.

④ 테이블 탑(Table top)의 선택사항도 확인한다.

식기의 종류, 식탁보, 컷트러리, 유리잔, 부착물, 형상물 등을 확인하고 꽃의 색상, 소재도 정한다.

⑤ 꽃의 소재나 향이 너무 강조되어 음식의 맞과 향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출처 : 플라워뉴스
글쓴이 : 지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