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화훼재료및 형태학 정리

봄춘 2007. 8. 2. 15:35
 

❀화훼원예의 특징

➀노동과 자본 집약적 경향이 강하고 토지 생산성이 높다.

➁화훼는 전 세계적으로 같은 종과 품종을 이용함으로써 국제성이 높다고 할수 있다.

 예)채소의 청량 고추는 외국에서 너무 매워서 싫어하며 사과의 후지는 넘 사각사각하고 당도가 높다고 해서 또 한 싫어한다.

➂화훼는 종류와 품종이 다양하다. 예)난은 30,000여종이 있다.(아직도 개발되지 않은 종도 많이 있다.)

✔화훼의 품종수가 많은 종류 순서대로 외우기

장미-튤립-달리아-아이리스-수선-글라디올러스

➃계절적으로 생산되면 그 계절에만 거기에 맞는 꽃을 볼 수 있다. 어느 계절이나 계속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주년생산(=연중생산)이 되어야 한다.

➄화훼는 소비액수가 문화수준 정도로 보고 있어서 복지 국가 건설에 기여한다.

➅환경미화용 재료를 생산한다.(건축비의 몇%,면적당 몇%를 식물로 심어야 한다는 법으로도 만들어져 있기도 하고 우리나라도 점점 공공원예에 대한 것에 관심이 높아졌다. 월드컵이나 올림픽을 하고 나면 발달되는 분야이기도 함.)


✔강희안 양화소록 16종

향나무, 소나무, 매화나무, 오죽(대나무), 서향(천리향), 석류나무, 치자나무, 장미(사계화), 동백나무, 배롱나무(목백일홍), 철쭉, 귤나무 - 목본류 12종

난, 국화, 연, 석창포 -초본류 4종


❀화훼의 이용형태

➀생산화훼=산업화훼

✄절화(꽃, 잎, 가지를 포함해서 말할 수 있다.)- 절화, 절엽, 절지

✄종묘= 종자(구근도 포함 시킴) +묘목(1년초도 검은색 포트에 심겨져 있다.)

➁취미화훼 - 화훼장식은 여기에 포함됨.

➂후생화훼 -원예치료, 향기치료도 포함시킴. 환경원예를 후생화훼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공기정화, 습도조절, 새집증후군(광촉매작용; 기공을 통해 나쁜 물질을 흡수시

             켜 뿌리에서 정화를 시킨다.)에 효과가 있다.


❀식물학적 분류

(작은 단위) 품종-변종-종-절-속-족-절-과-목-강-문-계 (큰 단위)

✄속명-우리가 일반적으로 부르는 꽃 이름들이 여기에 속한다.

       예)나리(Lilium), 장미(Rosa), 글라디올러스(Gladiolus)

✄학명: 세계적으로 공통적인 이름. 린네에 의해서 제창됨. 이명식 명명법(이명법)

        속명(대문자) +종명(소문자) +명명자, 이탤릭체로 씀. 어원은 라틴어, 이탤릭체로

        표현할 수 없을 때는 속명과 종명의 아래에 밑줄을 각각 긋는다.

성질명의 예)매발톱꽃 - Aquilegia(속명)은 “독수리의”라는 의미를 가짐.

            현호색 - Corydalis(속명)은 “종달새의”라는 의미를 가짐.

✓섬말나리-점이 있고 꽃이 두꺼워 오랫동안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민섬말나리- 점이 없다.

✄명명자의 표기법

   A ex B et C - A에 의해서 명명된 것을 B와 C가 기재했다.

   (A) B et C - A에 의해서 명명된 것을 B와 C가 기재했다.


✔나리는 속(아속, 아목, 아강이라는 “아”는 더 작은 부류가 있다는 뜻이다.) 밑에

  절이 있다.


❇나리(百合의 百은 인편이 100개 모여 있다는 뜻으로 사용함.)의 종류

➀나팔 나리(Lilium longiflorum hybrids) - 머리가 측향, 요즘 신나팔나리는 곧게 세워져

                                          서 나오는 것도 있다.

➁아시아틱 나리(L. asiatic hybrids) - 머리가 상향, 틈나리

➂오리엔탈 나리(L. oriental hybrids) - 향기가 좋다. 꽃머리 방향이 다양하다.


✔대문자 앞에 “✕”가 있으면 두속이 합쳐져 있다는 뜻이다.

  2 ㆍ 3속 이상은 독창적으로 단어를 만들어서 써도 되고 일부분 따와서 이름을 만들기도     한다. 3속이상은 -ara를 끝에 붙여서 속명으로 만든다.

✔속간 접목교잡의 경우(속간 접붙이기)는 “+”를 성질명 앞에 붙인다.

✔게통명은 보통명(Hybrids, 교잡)으로 쓴다.

✔품종명은 이탤릭체로 쓰지 않고, 속명 + 종명 + 품종명(대문자) 순으로 쓴다.

   ❛품종명❜이나 cv. 품종명 으로 쓰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예)카사블랑카 Lilium oriental hybrids cv. Casa Blanca

               Lilium oriental hybrids ❛Casa Blanca❜

    금자백합 L. asiatic hybrids cv. Star Gazer , L. asiatic hybrids ❛Star Gazer❜


❀원예학적 분류

ㆍ 일년초: 춘파1년초 - 비내한성 1년생, 추파1년생 - 내한성 1년생

ㆍ 이년초: 반드시 겨울을 경과해야 꽃이 핀다. (저온경과)

ㆍ 숙근류: 다년생 초본, 국화, 카네이션, 작약, 상사화 등...

ㆍ 구근류: 인경(잎)-유피, 무피 인경, 구경, 괴경, 근경(줄기), 괴근(뿌리)

ㆍ 화목류: 관화수(꽃), 관엽수(잎), 관실수(열매) ✐공조팝나무 = 석구화

ㆍ 선인장(3아과): 나뭇잎선인장아과(약30종), 부채선인장아과(약400종),

              기둥선인장아과(약2000종)

✓선인장이 가시로 퇴화한 이유? 양 ㆍ 수분손실, 파충류에게 먹히지 않기 위해.

✓난을 하이드로볼에 심는 이유? 착생란의 경우 가벼운 경석에 의해 눌러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난 뿌리중에 폭신한 것은 벨라멘 층이다.)

                               난뿌리 = 기근 = 착생근 = 흡수근

✓spp.란? 종명이 너무 길거나 자세히 모를때 spp.으로 쓴다.

          예)과꽃 Callistephus chinensis 와 같은 표현으로 Callistephus spp.로도 씀.

Syringa속에 속하는 것은? 라일락, 정향나무,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짝자래나무



✔반입식물=반엽식물 (잎에 무늬가 들어간 것.)

   엽록소가 없어져서 무늬가 생기는 경우, 영양분 생성능력이 떨어져서 생존가능성도

   줄어든다.


✔왜성식물-화학물질(생장촉진 호르몬인 지베렐린, 생장억제 호르몬인 ABA)로 조절할

           수 있으나 환경에 오염을 야기 할 수 있다.


✔식물의 영양기관: 잎, 줄기, 뿌리   식물의 생식기관: 꽃, 열매, 종자


✔변태: 원예작물 대부분은 변태. 선인장은 변태에서 진화, 불가역적, 구근식물이 여기에

        해당(종자를 대신해서 만드는 것).

  기형: 식물에 의해 일시적. 환경이 맞으면 다시 돌아갈 수 있는 것. 가역적.


✔상동: 선인장의 가시는 잎이 변해서 된 것이기 때문에 잎과 가시는 같다.

  상이: 서로 근원이 다르다. 선인장 침은 잎이 변해 침이고, 명자나무는 줄기가 변해서

        침이 되었다.


단엽: 팔손이 복엽: 마로니에(7엽수), 장미

  대생: 자귀나무, 아까시나무, 미모사

  단자엽과 쌍자엽중에 단자엽(글라디올러스, 아이리스, 튤립, 나리)이 더 진화하였다.


✔잎의 기능: 광합성(광, 물, CO2), 증산작용(기공을 통해 물을 소비해야 새로운 물을

            뿌리를 통해서 흡수한다.)


✔포: 잎의 가장 선단부에 있다. 잎을 보호한다. 포인세티아(빨간색), 부겐빌레아(분홍색)

      안수리움, 스파트필름, 칼라, 천남성(이렇게 4개는 포라고 하지 않고 불염포라고 하며

      중간(도깨비방망이처럼 생긴것)에 꽃을 육수화서라고 한다.)


✔줄기의 역할: 사람의 혈관과도 같은 역할. 목부, 사부는 쌍자엽 ㆍ 단자엽에 있다.

               형성층(부름켜)은 단자엽에 없다. 목부(물관)은 뿌리로 흡수된 물을 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사부(체관)은 잎에서 광합성한 영양분을 아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줄기 끝과 뿌리 끝에 신장대가 있다. 그래서 보호장치가 있다. 뿌리는 근관(뿌리골무)이

   라는 보호층이 있는데 죽은 세포라서 자갈, 흙을 뚫고 확장할 수 있다.


✔뿌리에는 수근계(수염뿌리처럼 생긴 것. 단자엽 식물)와 직근계( 쌍자엽, 길게 곧은 뿌리)

  가 있다. 뿌리의 기능: 지탱, 고정, 흡수, 수송, 영양분 저장기능이 있다.


✔꽃생성순서:

  꽃받침조각(sepal,꽃받침편) - 꽃받침(calyx,악) - 꽃잎(petal 꽃잎1장) - 화관(꽃잎전체)

  -수술(웅예) - 암술(자예)

✔양성화: 암술, 수술이 다 있는 것  단성화: 암술, 수술 중에 하나만 있는 것.

  자웅동주: 암꽃, 수꽃이 한그루에 피는 것.(소나무, 밤나무, 오이), 자웅이주: 암꽃, 수꽃이    다른 나무에서 피는 것.(은행나무, 소철, 주목, 뽕나무)

 

✔수술: 꽃가루 주머니(약, 그것 안에 꽃가루가 들었다.) - 약실(화사, 꽃실)

  암술: 암술머리(주두,stigma), 암술대(화주,style), 자방(씨방, ovary)

  자방상위화: 꽃잎과 꽃받침을 건드리면 잘 떨어진다. 자방이 꽃받침, 꽃잎보다 위쪽에

              있다. 나리

  자방하위화: 꽃잎, 꽃받침이 잘 떨어지지 않고 결속력이 있다. 글라디올러스

  자방중위화: 장미과가 여기에 속함.

  4개의 소기관(암술, 수술, 꽃잎, 꽃받침)을 받치는 꽃받기(화탁)이 있다.

  꽃받침과 꽃잎을 구별하기 힘들 때(동형, 동색일 경우) 화피라고 한다. 대부분 6장

  (내화피편 3장, 외화피편 3장)이다.


✔화관: 꽃잎 전체를 말함. 이판(꽃잎이라는 말)화: 갈래꽃, 합판화: 통꽃을 말함. 초롱꽃, 종꽃, 용담, 개나리, 나팔꽃을 말함.


✔꼬리부착형: 꿀풀과와 매발톱꽃과의 특징이다. 꽃 뒷부분에 새 발톱 모양처럼 생긴 것을

              “거”라고 한다.


✔밀선: 자방의 기부에 주로 있는데 설탕, 포도당, 과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꿀의 성분이다.


✔화식도: 하나의 꽃을 구성하고 있는 꽃받침, 꽃잎, 수술, 암술(심피)의 배열관계를 평면상            의 모식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화식: 배열상태를 기호와 숫자로 표시하는 것. 꽃받침(K), 꽃잎(C), 수술(A), 암술(G),

        화피(P)  예)수선화:P3+3 A3+3 G3+3 심피3개가 하나로 묶여 있다.

        G:자방상위 G:자방하위 나리:P3+3 A3+3 G(3)


✔화서: 꽃차례

 총상화서, 수상화서 비슷하게 생겼으나 총상화서에는 소화병(작은꽃자루)이 있고, 수상화서

 (글라디올러스)에는 없이 벼이삭처럼 생겼다.

 산방화서(총상화서의 변형)는 소화경의 길이는 다르나 위에서 일정하게 펴있다.

 섬바디, 당근초

 산형화서는 소화병의 길이는 같고 우산모양으로 생겼다.

 원추화서: 배롱나무, 쥐똥나무 등이 속함.

 미상화서: 수상화서를 거꾸로 한 것처럼 생긴 것.  아래로 갈수록 젊은 것(어린 꽃)이다.

 배(잔이라는 의미)상화서: 포인세티아

 집산화서를 제외하고는 무한화서이다. 단정화서(단생화라고 하며 한대에 한꽃만 피는 것),   집(취)산화서(제일 선단부가 먼저 핀다.)는 유한화서이다.

 무한화서: 밑에서 위, 바깥에서 안 

 유한화서: 위에서 아래(리아트리스 , 용담), 안에서 바깥

출처 : (사)한국화훼장식기사협회
글쓴이 : 운영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