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화훼디자인의 이론과 실제

봄춘 2006. 9. 15. 23:37

4. 화훼디자인의 이론과 실제

1) 화훼장식의 정의

화훼장식 /원예장식  / 화예장식 / 꽃꽂이 / 꽃예술 / 이께바나 (IKEBANA)

  Floral Design기획 설계 / Flower Arrangement / Flower decoration


원예식물을 주 대상으로 하여 미의 원칙과 표현요소에 입각해 모든 재료와의 관계를 용도 의도에 맞게 디자인적으로 정리 배열 연출하는 조형 활동.(T,P.O시간 장소 목적에 맞게)

2) 원예장식의 역사                     

                    

                               Oriental Style : Line Arrangement(선, 공간)

★ Floral Design   


                               WesternStyle(OccidentalStyle)(European):Mass                                                                                     Arrangement                     

                                                

                   1920년 기하학적 패턴을 근거로 해 미국이 만든것.

                    

Today ⇨     Modern Flower Design: Contemporary Design

              Line - Mass Arrangement(형태, 색채가 혼합된 양식이 혼용됨)


- 유럽식: 식물자체 자연성 중시

- 서양식: 물리적 수단으로 자연에 없는 인위적 기하학적 형태 구성

동양식과 서양식 꽃꽂이 특징 비교


           동양                                                                서양


기법: 삼존식 주지선 사용 (천,지,인 기본)    축선사용, 기하학적구도(삼각 원 원추)사용


구도: 주안점 비대칭 조화. 선,공간미 강조    대칭조화, 양감(부피),면(넓이) 색채,형태


목적: 정신적 요소 강조                               장식성 강조.

         정신수양 과정으로 인식(화도)             Ex)Table,Weedding(생활장식적)

         감상적                                               실용적, 기능성,상업성 중시,


재료: 곡선재료를 사용, 목본류, 침봉          직선 사용하며 꽃이 주, floral foam 사용


분위기: 동양적, 정적, 소박함                    서양적, 화려함


소재배합: 단순함                                     복합적임(3색, 5색)

원예장식의 요소

1. Line(선)

디자인의 기본이고 작품의 골격을 이루며 전체 흐름을 형성한다. 선의 흐름으로 감상자 시선을 유도하며 선에는 직선과 곡선이 있다. 또한 직선에는 수직, 수평, 사선이 있다.

선은 무한한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묘한 암시성을 준다. 감정이나 표현적인 특성을 만들어 낼 수 있다.

2. Form(형태)

외형적 형태로 깊이 넓이 길이 입체적 구조를 말한다. 형태는 대자연에서 볼 수 있는 구상적형과 추상형이 있다.

3. Textture(질감)

식물 소재가 표면으로 느껴지는 시각적인 느낌으로 전체 분위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각적인 느낌은 부드러움 딱딱함 뾰족함을 말하며 식물에 있어서 질감은 수피의 모양과 잎의 간격, 잎의 모양, 결각 상태, 잎의 표면, 엽병 굵기와 길이에 따라 다르다.

4. Space(공간)

화가 캔버스가 주어지듯 작품의 안과 밖의 전체적인 입체적 공간을 말한다. 공간에는 양성 공간과 음성공간 연결공간이 있다.

5. Color (색채)

반사된 광선들의 의한 눈의 시각적 반응을 의미한다. 색은 심리적인 영향이 크므로 가장 호소력 있는 디자인 요소로 시각적인 쾌감과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다. 화훼장식에서는 이미 있는 색을 조합하여 상징성 이미지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이다. 꽃, 잎, 화기, 여러 보조 재료는 장소 환경 배경 등에 맞추어 목적에 적합한 색채를 정한다.

   1) 단색배합: 동일한 색상배합으로 즉 어느 한 빛깔의 엷은색, 순수색, 흐린색, 어두 운색의

               배색이다. 얌전하고 단정한 느낌을 준다. 단조러워 색조의 의한 변화 가 필요하다.

               진한색과 엷은색으로 균형감을 조절한다.  

   2) 유사색배합: 어느원색과 양쪽에 인접한 비슷한 2-3색 또는 3-4색의 조화로,

                 배합이쉽고 통일감 쉬우나 평범하고 변화없다.

   3) 보색배합: 색채표에서 서로 정반대쪽에 위치한 2색의조화. 자극적 느낌을 준다. 

             변화 생동감을 준다.

   4) 이중보색배합: 색상환상 보색적인 순색의 2쌍을 배합 것으로 2쌍의 강한 자극적

               배색으로 커다란 변화 생동감을 준다. 예)적색 초록색,보라색 노랑색

   5) 삼색배합: 색상환상 동일한 간격을(매 4분절상에) 유지한 3색(3원색)의 조화로 색상차가

                심한 강한색과 중간 강한 색의 배합으로 약간 강하고 무거운 느낌을 준다.

                통상 화려한 느낌을 준다.

   6) 대조배합-색상환상 같은 거리상의 매 4분절에 위치한 2색(원색과 원색)의 배합으 로

             이질적 색채의 배합이며 구성에 있어 강한 대비가 하나의 작품속에 통일을 이룬다.  

            밝은색과 중간 밝은색의 배합은 경쾌 온화한 느낌을주나 중간 밝은색끼리의 배합은 

           약간 무거운 느낌을 준다.(밝고 어둡고, 따뜻하고 차갑고, 강함고 약한색의 배합이

           있으며 유채색과 무채색의 배합 그리고 맑고 탁한 색의 배합 등이 있다.)

   7) 다중색배합

     유채색과 무채색의 다양한 색깔의 배합으로 현란하며 다양한 느낌을 줌

원예장식의 미적 표현원리   

1. Proportion(비율)

여러 가지 구성 재료간의 상대적 크기와의 관계이다. 중량감이나 병의 크기 또는 작품 전체와 작은 부분들이 적절이 분할 되어야 짜임새 있다. 여기에는 황금비율이 적용된다.(1: 1.618) 베이컨은 “미란 적절한 비율에 있다” 고 하였다.

2. Balance(균형)

가상축을 중심으로 작품의 크기 형태 색상 무게  배치에 있어 시각상의 안정감으로 시각적 무게 분배를 의미한다. 균형감이 있어야 안정감이 느껴진다. 균형에는 대칭균형과 비대칭균형이 있다. 비대칭균형은 자연스럽고 독창적인 작품을 연출할수 있다.

3. Rhythm(리듬)

선, 형태, 색상 꽃과의 공간 간격이 정기 부정기적으로 반복될 때 생기는 움직임의 효과이다. 감상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4. Emphasis(강조)

주변과의 차별성을 주어 주의력을 집중시키는 것으로 디자인의 극적 효과을 줄수 있다. 전체작품 이미지와 주제를 뚜렷이 하여 감상자의 혼돈을 막을 수 있다.

5. Unity(통일)

질서이며 하나로 묶어 보았을 때 개성을 뚜렷이할 수 있다. 전체와 강조 부분과의 색깔,선  등의 통일을 의미한다.

6. Harmony(조화)

작품 전체적 느낌을 말하며 이질이 있는 것 끼리도 잘 어울려 꽃 화기 그외 용구와 주위환경이 잘 융화되는 것을 말한다. 피타고라스는 “미를 조화”라고 정의하였다.

7. contrast(대비)

색채 질감 형상 등의 대립된 요소를 이용하여  미적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출처 : debolagh
글쓴이 : debolagh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