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웨스턴 스타일과 유러피안스타일의 다른점

봄춘 2013. 10. 1. 22:38

Western Style( American Design)과 European Design Style 과의 차이

 

기본원리

 

 모든 자연의 법칙들은 질서 속에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인간은 질서에 대한 기본 욕구가 있다.

 만약 어떤 형태 속에서 어느정도의 질서를 발견할 수 없다면 사람들은 이것을 무질서라고 느낀다(예를들면 식물을 심을때 뿌리가 위로 가도록 심는다면 그것은 자연의 법칙에 맞지 않는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꽃과 식물을 사용해서 무엇인가를 만들어 낼 때도 우리는 자연의 법칙을 명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Western Design Styles

. 고대 이집트시대부터 발생된 것이다.

. 미국을 중심으로 전통적(고전적) 형식을 바탕으로 기하학적 형태가 주를 이룬다.

. 전체적인 형태와 색상에 중점을 둔다.

. 꽃의 형태별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한다.

.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기하학적 방법으로 평면적, 입체적 형태로 구성된다.

. 배치법은 대칭적 또는 비대칭적

. 배열의 출발점은 주로 한 개의 초점이나 무초점도 있다.

 

European DEsign Styles

화훼장식의 토대를 형성하는 기본원리는 Western Design Style과 같으나 꽃과 식물들이 갖고 있는 가치효과나 운동성, 식물의 사회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가능한한 자연에 가깝도록 표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시말하면 자연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관찰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 자연 속에서 생장하고 있는 형태나 앞으로 생장하게 될 형태를 갖도록 배열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European을 이해하려면

꽃과 식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나름대로의 특성과 개성, 성격과 품격을 지닌 하나의 완성된 조형물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접근해야 한다.

  

형태론

형태란 개개의 요소들이 정돈되고, 배열되어 하나의 새로운 전체가 만들어지는 것을 말한다.

 

. 일반형태론

(1) 질서(배치)의 종류

   대칭과 비대칭

(2) 형태의 종류

   Vegetative

    Decorative

    Formal-linear

    Parallel

(3) 배열(생장점)

(4) 그룹

    엄격한 그룹(주 그룹과 양옆에 부 그룹만 존재)

    자유로운 그룹( 주, 역, 부 그룹)

(5) 비율

     조화로운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서로의 관계

(6) 열 짓기

    단순한, 율동적 배열

    그 외에 공간적 배열

 

2. 특수 형태론

    관찰 능력을 표현한다.

(1) 표현형태

     가치의 표현으로 대가치, 중가치, 소가치

(2) 운동형태

     능동적 - 위로 또는 밖으로 뻗거나 옆으로 확산되는 것. 꺽이면서 뻗어 올라가는것. 유희적인것.

     수동적 - 안으로 모이는 듯한, 길게 늘어지는 것.

(3) 표면구조

     부드러운, 단단한, 거친.

 

-  요점정리 -

우리에게 선생이라고 할 수 있느 " 자연 " 을 관찰하면 두 종류의 질서를 보게 된다.

. 대칭적 질서(엄격한 질서) - 튤립꽃잎. 양란, 드라세나. 인간의 신체 등

. 비대칭적 질서 (자유분방한 질서) - 자연의 풍경 - 어우러져 독특한 질서유지.

 

일반적인 형태의 비대칭적 질서는 Vegetative에서 주로 표현된다.

비대칭적형태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그룹을 이해해야 한다.

 

1. 가장 뚜렷하게 강조되는 주 그룹

2. 무게의 조화를 위한 두 번째 그룹인 역 그룹

3. 주 그룹가까이 위치하여 부속 그룹으로 이용되는 부 그룹

 

Vegatative의 여러가지 표현유형

생장점 = 출발점 : 식물에서 뿌리와도 같은 집결점을 말한다.

1. 하나의 생정점 즉 한 점에서 출발 한것 - 이상적인 조형형태. 일종의 방사형으로 나타낸다.

- 생장점은 용기의 중앙에 위치해서는 안 되며, 올바른 위치는 기하학적 중심의 양 측면 중에서 약간 앞쪽이나 뒤쪽.

2. 가상의 생장점 즉, 세 개의 점을 갖는것

 - 생장점은 용기 안에 있는 것이 아니고 용기 밑에서 가상의 점을 찾게 된다.

3. 많은 점에서 출발하고 줄기는 서로 섞이는 것(교차)

4. 많은 점에서 출발하지만 그룹을 형성 하고 있느것(병렬형태)

5. 초점이 반듯이 정해져 있지 않은 무초점( 화환, 오브제이용

             

-유럽쪽 국가가 상당히 폴로리스트에 대한 인지도가 높다

국가를 꼽자면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 등을 꼽을수 있으며

이 국가 들에서 파생된 꽃꽂이를 유러피안 스타일 이라고 한다.

 

 다른지역은 미국과 일본을 꼽을수있고 미국에서 파생된  꽃꽂이를

웨스턴 스타일 이라고하며 일본에서 파생된 꽃꽂이를 동양식 꽃꽂이(이케노보)라고 한다.

 

유러피안 ,웨스턴, 동양 꽃꽂이 이세가지가 현재 한국에 많이 보급되어있다.

출처 : 플로리스트들
글쓴이 : 시온플로리스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