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화훼의 정의 및 이용형태

봄춘 2013. 3. 28. 09:12

*화훼: 관상을 대상으로 하는 초화류를 포함한 관상 초본류와 화목류, 관상수를  총칭하여 [화훼]라고 한다.

*생산화훼에서 절엽은 주로 작품의 외관 골격선을 표현하는 부소재로 쓰인다

절화장식:

갈란드[Garland]/ 센터피스(Center Piece)/포푸리(Potpourri),

형상물/꽃꽂이/꽃다발/화환/꽃바구니/건조화/압화/코사지  

분식물장식:

디시가든/테라리움/아쿠아리움/행잉바스켓/토피어리/수경재배/분재/분경/실내조경/비바리움

 갈란드[Garland], 
  안스리움, 카틀레아 처럼 화려한것이 좋다.

※포인세티아

-멕시코 원산의 대극과 식물이다.

-줄기를 잘랄을때 청화각,꽃기린 처럼 하얀색의 유액이 나온다.

-학명은Euphorbia pulcherrima Wild.

-내한성이 약하다.

-종자번식이 아니라 삽목이다.

삽목이란? 식물의 가지, 줄기, 잎 따위를 자르거나 꺽어서 흙속에 따로 묻어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방법.

센터피스(Center Piece) 

서양식 상차림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것이 바로 센터 피스(Center Piece)이다.
글들은 마치 또 하나의 스페셜 요리를 만들 듯 정성스럽게 테이블 장식할 꽃꽂이를 한다. 요리로는 미각을, 꽃으로는 시각을 만족시키는 공 감각적인 식탁 풍경이 연출된다.
센터 피스(Center Piece)는 중앙에 놓는다. 라는 의미로 테이블 세팅에서는 식탁 가운데 놓는 장식품을 말한다. 대부분 테이블 중앙에 위치하기 때문에 장식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통틀어 ` 센터 피스`라고 지칭한다.  소담한 화병을 하나씩 놓아 손님을 맞는 정성을 표시하고 식탁 분위기를 돋우었다.

포푸리(Potpourri)

프랑스어로 '발효시킨 항아리'라는 뜻을 갖고있고, 건조화에 플라워 오일을 섞어 방향제로 쓰는것을 포푸리라고 한다. 고려시대 향대가 이에 속한다. 

 

테라리움:

-식재토양은 가볍고 소독이 잘된 것을 사용한다.

-직사광선을 비추게되면 녹초가 끼거나, 너무 온도가 올라가게되어 식물생육에 좋지않게된다.

-과다한 관수는 하지않는다.

-토양을 적당히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식물의 생장을 억제시킨다.

-뚜껑을 가끔 열어주어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켜 식물의 생장을 억제시킨다.

-배수층위에 숯을 약간 깔아주면 토양내 발생되는 유해물질을 흡수해줄수있다.

-식충식물 파리지옥 이나 아디안텀,프레리스 고사리와 같은 고사리류식물이 좋다. 

 아디안텀

 

비바리움: 유리용기에 도마뱀,개구리,거북 등과 식물를 함께 생육시키는 식물장식.

아쿠아리움: 수조에 수생식물을 심고 , 어류를 같이 넣어서 기른다.

디시가든: 용기위쪽이 열려있고 물구멍이 있는것. 생육속도가 느린식물을 선택해야하고 천남성과는 수분흡수력이 좋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다.

토피어리:형상물에 식물장식

콜라주:화훼재료를 판넬에 붙여서 표현한것 

 콜라주

더치 플레미시(Dutch-Flemish)
-다양한 액세서리로 과일과 새둥지, 조개껍질을 포함한 사치스러움 부케주변을 장식하였다.

-17세기 네델란드와 벨기에 화가들의 그림에서 보여지는 양식이다.

-어레인지먼트는 헐겁거나 바로크스타일처럼 개방적이지는 않지만 비율이 적용되었고 더욱 컴펙트하게 만들었다.

스트라우스(Strauss): 독일식 꽃다발

 스트라우스(Strauss)

■트라이앵글 부케:

3개의 길란드를 중심부에 연결한 것이다.

비더아이어(Biedermeier)

-1815~1848년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시작됨

-소시민적생활양식으로 사용되었던 디자인 양식

-Ludwig Eichrot의 풍자소설집의 제목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주로 사용한 꽃은 국화,팬지등의 작고 둥근 형태의 꽃을 사용하였다.

-꽃들을 촘촘하게 구성한 덩어리를 강조하는 아주 형식적인 돔형의 어레인지먼트를 압축한 양식이다.

 비더마이어(Biedermeier) 

행잉바스켓에 적당한 식물

-수태를 이용하여 식재한 공중걸이분의 관수는 분무기로 하루 2~3회 분무해준다.

페츄니아(피튜니어)/제브리나/러브체인/아이비/스킨답서스/마삭줄/제라늄/임파치엔스(impatiens)

디몰포세카 dimorphotheca

 디몰포세카 dimorphotheca 

 임파치엔스(impatiens)

■ 행잉바스켓에 부적당한 식물

아스플레늄(Asplenium)

행잉바스켓에 부적당

프록스(행잉바스켓에 부적당)

■부토니에르(Boutonnière):=부토니아

 남자의 정장 또는 턱시도 좌측 상단에 꽂는 꽃이다. 주로 장신구로 쓰며, 행사나, 오페라, 무도회, 결혼식 등과 같은 행사에 꽂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토니아는 신랑으로부터의 구혼에 대한 승락의 표시로서 신부의 부케에서 뽑아 양복의 가슴에 꽂는 것이 시초라고 알려져 있다

■ 브레이슬릿(Bracelet)

 브레이슬릿(Bracelet)

■ 건조방법
-열풍건조:
-동결건조:
-글리세린건조: 글리세린용액과 뜨거운물을 4:6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매몰건조:실리카겔은 규산의 건조한 상태의 겔로 흡수력이 강하여 자체무게의 40%의 수분흡수.
-누름건조:

■ 건조화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한꽃:밀짚꽃(로단새)/스타티스/포피(양귀비)

 꽃이용

장미,로단세,스타티스,

홍화(잇꽃),아킬레아,천일홍,메리골드,수레국화,데이지,델피니움,맨드라미

 줄기이용

등나무,다래덩굴,칡넝쿨

 열매이용

노박덩쿨,청미래덩쿨

 밀짚꽃=로단세=종이꽃
=헬리크리섬
 
포피(양귀비)

 
홍화(잇꽃)

 
아킬레아

 천일홍

 다래덩쿨

 노박덩쿨

 

■  압화로 적당한 소재: 제비꽃,산수유꽃,델피니움

 델피니움

출처 : LeeKyuSoon_Blog
글쓴이 : 회화나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