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화훼장식에 관하여

봄춘 2012. 4. 17. 23:23
화훼장식


1. 뜻과 의의
2. 꽃장식 소재

가. 주소재: 생화, 말림꽃, 조화
나. 부소재: 절지, 절엽
다. 절화의 수명연장

① 절화 보관시 2-4℃온도하에서, 열대성 식물은 10-12℃, 습도는 높게 유지한다
② 꽃대를 물속에서 비스듬히 자른 후 바로 꽂거나, 곧바로 미지근한 물에 몇 시간 담가둔다
③ 절화수명연장제를 구입하거나 설탕, 사이다, 아스피린 등을 물에 타 주면 수명연장의 효과
④ 줄기의 수분흡수촉진을 위해 줄기 선단부를 망치로 으깨주거나, 뜨거운 물에 잠깐 담가둔다
⑤ 꽃을 꽂기 전에 수중에서 재절단해준다
⑥ 오아시스에 꽂는 경우 사이에 공기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라. 소재의 형태에 의한 분류
① 라인 플라워(line flower)
- 길이감 제공, 전체 골격 형성
- 글라디올러스, 아이리스, 금어초, 스토크, 델피디움 등

② 매스 플라워(mass flower)
- 구심점(focal point)이 되는 부분을 향하여 장식, 무게감과 안정감 제공
- 다알리아, 국화, 카네이션, 장미 등

③ 폼 플라워(form flower)
- 화형 자체가 특수하게 생긴 꽃으로 독특한 화형이 제공하는 실루엣 효과 제공
- 구심점의 역할
- 극락조화, 안스리움, 서양란 류, 백합이나 나리류 등

④ 필러 플라워(filler flower)
- 빈공간을 채우는 역할, 주된 꽃들을 돋보이게 한다.
- 안개초, 스타티스, 카스피아, 프리지아 등

⑤ 라인 폴리지(line foliage)
- 생기와 힘, 강력한 선을 제공
- 칼과 같은 날카로운 느낌 : 드라세나, 엽란, 마디풀, 부들, 보리 등
- 부드러운 느낌 : 보스톤고사리, 소철, 종려, 유캘립터스 등

⑥ 매스 폴리지(mass foliage)
- 무게감을 주는 소재로 넓은 잎은 꽃을 보다 돋보이게 하는 배경 제공
- 필로덴드론, 동백, 고무나무, 스킨답서스, 디펜바키아, 크로톤 등

⑦ 폼 폴리지(form foliage)
- 잎 모양이 독특
- 종려, 몬스테라, 안스리움, 크로톤, 엽란 등

⑧ 필러 폴리지(filler foliage)
- 전체 배경 장식, 다른 요소와 조화를 이루어 전체 분위기를 은은하게
- 측백나무류, 고사리류, 아스파라거스, 아디안텀, 유캘립터스 등

3. 꽃꽂이용 도구 및 용기
칼 가위 플로럴폼 침봉 오아시스 분무기
플로럴테이프 리본 철사망 철사 Upin
자갈, 구슬 스티로폼 용기

4. 기본원칙과 표현요소
가. 기본원칙
구성 composition, 비율 proportion, 조화 harmony,
구심점 focal point, 균형 balance, 율동감 rhythm

나. 표현요소
형 form, 선 line, 공간 space, 질감 texture, 색채 color

5. 꽃꽂이
(1) 동양 꽃꽂이
1) 기본기법
① 주지 : 역지(役枝) 또는 화형(花形)이라고 하며, 기본골격은 3개의 주지로 구성
② 주지의 길이
·제1주지(○) : 화기의 높이에 너비를 더한 것
선의 흐름을 먼저 결정짓는 으뜸되는 주지로 天에 해당된다
·제2주지(□) : 제1주지의 길이에 비례하여, 1/3-1/2-3/4 정도의 길이
天의 흐름을 받아 그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주지로 地에 해당된다
·제3주지(△) : 제2주지의 길이에 비례하여, 1/3-1/2-3/4 정도의 길이, 그 흐름을 완성시키고
작품을 마무리하면서 변화를 창조할 수 있는 주지로 人에 해당된다

2) 기본형
- 주지방향에 의한 구분

① 직립형 : 1주지가 수직선에서 15-30° 내로 벌어진 것
② 경사형 : 1주지가 60-80° 정도 기울어진 것
③ 하수형 : 1주지가 120-169° 정도 늘어진 것
④ 수평형 : 1, 2, 3 주지를 모두 수평으로

- 자연현상을 모방한 기본형
① 방사형
② 분리형
③ 부화형
④ 형상형
⑤ 정면화
⑥ 복합형

(2) 서양꽃꽂이
1) 기본형
① 직선형 - 수직형, L자형, 역T자형, 대각선형, 수평형
② 매스형 - 부채형(fan), 둥근형(round), 계란형(oval), 삼각형 (triangle)
③ 곡선형 - 초승달형(crescent), S자형 (Hogarth line shape)
④ 입체형 - 반구형(dome), 구형(ball), 원추형(cone), 피라미드형(pyramid), 자연줄기형(spray)

2) 기본기법
① 색채와 형태미에 치중하고 기하학적인 도형을 기본기법으로 한다
② 장식하고자 하는 장소와 시간, 목적에 따라 꽃의 색채와 종류의 선택이 달라지고, 화기의 크기, 형태, 높이가 달라진다

(3) 꽃꽂이 할 때의 유의점

① 꽃이 크고, 꽃색깔이 진한 것은 아래쪽
② 꽃의 크기에 따라 화기의 크기를 결정
③ 계절감있는 소재를 계절에 맞추어 사용
④ 수직형 꽃꽂이는 사각수분을 이용, 기타는 원형 또는 타원형 용기 이용
⑤ 꽃꽂이의 중심부는 수반의 중앙을 피할 것

(4) 꽃꽂이의 이용
① 현관 - 게점감
② 응접실 - 즐거움, 사방화
③ 식탁 - 작은 꽃, 연한 빛, 약한 향기
④ 사무실 - 피로회복,
⑤ 책상 -목가적으로 간결하게
⑥ 상업공간 - 이미지 전달, 상품 돋보이게

(3) 생활꽃꽂이
① 미니 꽃꽂이 : 한 두 송이 꽃이나 열매 또는 잎을 소형 화기, 즉, 향수병, 작은 양주병,
청자화병 등에 꽂아 장식
② 걸이 꽃꽂이 : 벽면장식이나 공간장식에 이용되며 벽걸이용 화병에 꽃을 꽂거나 말린꽃을 매 달아 장식
③ 물띄우기 : 식탁이나 테이블에 어울림
④ 꽃바구니 : 바구니 안에 오아시스를 넣고 꽃을 꽂음
⑤ 오브제 : 고목, 돌, 새의 깃, 철사 등 꽃 이외의 물체를 소재로 형상화하는 형식
⑥ 모빌 : 천장에 매달아 작은 진동에도 움직이도록 하는 형식으로 마른 소재를 많이 이용
⑦ 꽃깔기 : 짧은 시간 장식용으로 바닥에 깔아놓는 형태로 오아시스를 이용
⑧ 코사지(corsage) : 상반신 의복에 매다는 작은 꽃 장식, 남성용은 boutonnere
⑨ 부케(bouquet) : 신부용 꽃다발, 근래에는 졸업식 등에 소형 꽃다발로 이용
⑩ 리스(wreath) : 벽이나 문에 걸어놓는 링 모양의 둥근 화환으로 목걸이(ray)나 장례식용 화환도 포함
⑪ 센터피스(centerpiece) : 식탁이나 테이블 중앙을 장식하는 꽃으로 피아노, TV 위에 올려놓아 장식하기도 한다.
⑫ 화환: 경조화환, 축하용화환, 받침대(오브제)


6. 말림꽃 (건조화, dry flower)
건조, 표백, 염색

가. 특징
① 물이 불필요
② 이용성, 보존성이 높은
③ 장소에 제한이 없음
④ 계절적 제한성이 없음

나. 소재의 준비와 처리
꽃, 잎, 줄기, 과실, 종자, 이삭, 꼬투리, 덩굴, 뿌리 등

다. 건조방법
① 자연건조법 - 거꾸로, 눕혀, 세워, 그물, 상자, 자생지
② 가온건조법 -
③ 저온건조법 - 0∼10℃
④ 감압건조법
⑤ 중압건조법
⑥ 매몰건조법 - 실리카겔, 강모래, 소금, 붕사, 밀가루, 펄라이트 등
⑦ 액체건조법 - 알코올, 포르말린, 글리세린 등

라. 표백과 염색
① 표백 - 하이포아염소산나트륨, 표백분, 표백정, 아염소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
② 염색 - 염료염색, 도료염색

마. 이용
밀폐형, 개방형 작식품

7. 누름꽃 (압화, pressed flower)
가. 적당한 소재
꽃, 잎, 줄기 (다육식물이나 선인장 제외)

나. 건조방법
① 책갈피
② 누름판
③ 실리카겔
④ 다리미
⑤ 야책
⑥ carpet

다. 가공
① 탈색
② 발색
③ 보색

라. 보조재료
① 밑판과 액자
② 부착재료 - 본드 플라스틱 막 등
③ 보호재료 - 수지액, 유리, 필름 등

마. 구성과 이용
① 구성 - 원래의 재료와 같게 혹은 무관하게, 디자인 방법
② 이용 - 책갈피, 엽서, 카드, 액자, 액세서리, 부채, 명함, 가수, 병풍 등 매우 다양

8. 포푸리
가. 뜻과 의의
Pot pourri: 포트나 병속에 향기를 가꾼다, 방향을 향료와 섞어서 단지에 넣은 것
향기 좋은 꽃, 잎, 열매, 부리 등을 적당히 잘 조제해서 동물기름을 섞고 향을 넣어서 그릇에 담거 나 예쁜 천주머니 등의 속에 넣어 사용하는 것

나. 종류
① 용기 - 포만다(pomander), 새세(sachet)
② 제조방법 - 드라이포푸리, 습윤포푸리
③ 이용목적 - 향포푸리, 방취포푸리, 방역포푸리, 불면증치로포푸리, 장식용포푸리,

다. 재료
① 주재료 - 전체의 3/4 차지, 장미, 재스민, 라벤더 등의 꽃, 과일 껍질, 허브 등
② 부재료
③ 보류제 (정향제)

라. 이용
① 서늘하고 어두운 곳
② 악취가 나는 곳
③ 거실, 침실 등

 

 

 

출처 : http://www.mdeco.co.kr

출처 : 플로리스트들
글쓴이 : florists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