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양식 (desingn style)
*전통적인 디자인 양식
1.비더마이어(biedermeier)
오스트리아에서 시작된 비더마이어 양식은 꽃들을 촘촘하게 구성한 덩어리(mass) 를 강조하는 아주 형식적인 돔 (dome)형의
어레인지먼트를 압축한 양식이다. 비더마이어 양식은 1815~1848 년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한 세대에 사용되었던 디자인 양식이다.
이 시대에는 인습을 존중하는 주의와 낭만주의가 주류를 이루었다.
꽃의 배치는 집중적인 원이나 나선의 형 또는 무작위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인 양식으론 라운드 매스부케가 있다.
부러진 꽃도 사용이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단점으로로는 비용이 많이 들고 노동력이많이 소요된다.
비더마이어 구성은 정확한 동심원으로 구성하기 위하여 소재의 주열을 구체적인 둥근 링이나 열고 제한하고 있으며
각 열은 동일한 형태의 둥근 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같은 크기의 일정한 소재들로 구성한다. 시각적인 관심을 끌기 위하여
서로 다른 질감의 소재들로 대조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2.밀 드 플레 (mille de fleur)
밀 드 플레는 비더마이어와 같은 시대에 나타난 양식으로 "많은 꽃" "수천송이의 꽃" 들이란 의미를 가지고 낭만주의 시대를 대변하였다.
이 디자인에는 많은 색과 꽃들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풍요로운 인상을 표현하고 있다. 둥근형이 일반적이지만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형태도 수용되고 있으며 고전적인 형의 디자인으로는 많은 양의 꽃들을 사용하여 조화를 이룬 부채꼴 형을 들수있다.
라인소재들은 반드시 일반적인 구성의 체제에 포함되어야 하며 중요한 윤곽선 밖으로 나가지 말아야 한다.
꽃들은 비더마이어 처럼 꽂지 않고 더 넓게 간격을 두면 깊이와 크기를 한층 더해준다. 크기는 중요하지 않으며 대칭적이고 패턴화된 소재들과
색의 배합이 이양식의 주류를 이룬다.
3.워터풀(water fall)
1800년대 후반 낭만적인 캐스케이딩 디자인을 부활시킨 화기 안에 꽂는 손으로 묶는 (hand-tied) 부케이다.
마구 뒤섞인 듯한 워터 폴 형태인 전형적인 디자인을 성취하려면 큰 꽃들보다 작은 꽃들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특히 솟아오른 물이 흐르는 둣한 디자인에는 길게 드리워지는 소재들이 쓰인다.
작은 거울 조각,금속성의 실이나 깃털,진주 같이 반사되는 소재들을 사용함으로써 폭포수의 물보라를 표현한다.
4.플레미시 (flemish)
17세기 네덜란드 명인들의 그림에서 볼수 있는 부케를 연상시킨다.
플레미시 어레인지먼트는 겉으로 보기에는 한없이 다양한 꽃들과 잎, 신선한 과일이나 야채들의 밀집된 덩어리고 가득하면서도 패턴의 반복은 거의 없다.
이 양식의 가장 중요한 외관은 전체적인 적합성을 무시한 것으로 디자이너라면 반드시 구근의 꽃들을 열대 꽃과 과일,
그밖의 액세서리와 함께 섞어서 꽂는 법을 배워야한다.
실생활에서 플레미시 어레인지먼트는 존재한 적이 없지만 이런 정물화는 부귀와 권력,통찰력의 과시였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네덜란드 무역상이나 탐험가, 수집가와 바다를 정복한 자들의 용기와 직접 관련되어 있다.
5.피닉스(phoenix)
피닉스 디자인은 어레인지먼트의 밑부분을 꽃들 사이에 간격이 거의 없는 밀짚을 묶은듯한 방사형으로 디자인하여 중앙에서부터
소재들이 분출된 라운드형의 재생으로 새로운 아메리칸 양식이다.
바닥에 빽빽하게 무리진 다른 꽃들과 소재들로 둘러싸인 밀짚의 강한 분출과 이집트의 신화에 나오는 불사조가 조화를 이루는형이다.
*자연적인 디자인 양식
1.보태니컬(botanical)
보태니컬 양식의 디자인은 식물이 생장하는 과정과 구조, 개체에 대한 관찰을 묘사한 것으로 식물의 물리적인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한 종류의 구근식물 소재가 지배저기며 봉오리와 꽃망울,줄기와 잎, 구근과 뿔리 등 최소한 이 네 부분을 두드러지게 디자인 한다.
다른 구근 꽃들도 사용되지만 주 소재가 되는 꽃들에 부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그근은 실질적인 것이다.
..히아신스. 튤립. 수선화. 양파도 가능하며 백합 구근가 같은 형태의 마늘. 들상치. 마른 구근까지 사용된다.
꽃들의 뿌리와 구근들을 노출시켜 구상의 시작을 설명하였고, 한 송이의 튤립이 바람에 날려 흩어지면서 그 잎들이 땅 위에 떨어진 모습도 연출된다.
2.레디얼 베지테이티브 ( radial vdgetative)
베지테이티브 디자인이란 꽃과 식물 소재들이 자연에서 우연히 발견된 것처럼 표현한 방사형 디자인이다.
곧게 자란 꽃들을 비스듬히 사용할 수 없고 무리를 이룬 꽃들을 단독으로 보이도록 꽂을 수 없다. 모든 소재들이
병렬(parallel) 디자인과 같이 경쟁적으로 어울려야한다.계절의 꽃을 혼합하여 사용해서도 안된다. 꽃과 식물 소재들은
실재로 생장하는 관계를 기초로 하여 균형잡힌 높이로 꽃과 잎들이 그들이 자란 대로 그루핑하여 준다. 또한 잎들과 이끼 그밖의 소재들은
구성의 밑부분에서 자연을 함축하여 배치시킨다.
3. 패럴렐 베지테이티브(parallel vegetative)
꽃들을 음성적인 공간을 사이에 둔 뚜렷한 병렬그룹들로 만든다. 이상적인 꽃들은 자연에서 그렇듯이 구성의 필수적인 부분인 줄기의 위에 그루핑하여준다.
가장 순수한 형으로서의 베지테이티브는 자연 상태에서 꽃이나 식물이 자라고 있는 대로를 해석하는 것이다.
같은 식물에서 다육식물이나 수생식물과 같이 특이한 소재들은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좋지만 부득이한 경우를 위하여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소재들에대하여 더 많이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식물이나 꽃들은 하나의 장식적인 창작으로만 바뀔수는 없다.
4.랜스케이프(landscape)
랜스케이프는 정원에 심어진 꽃과 같은 뚜럿한 소재들로 조직된 양식이며 정원에서 많은 영향을 받으면서 정원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다.
가끔 베지테이티브 양식과 혼돈되고 있지만 베지테이티브 구성은 정원의 조직을 내포하지 않고 자라는 꽃들을 제시하고 있다.
바위와 그밖의 액세서리들은 전체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부분으로 정원에 배치된 것과 같이 사용되어야한다.
랜스케이프는 디자인은 둥글거나 직사각형의 땅이나 바구니 같아 보이는 화기에 더 매혹적으로 보인다.
*선형의 디자인 양식
1. 웨스턴 라인 (western line)
웨스턴 라인 디자인은 와만하거나 안락한 L자형으로 알려져 있다.
순수한 형에서 디자인의 높이는 디자인 폭의 1.5배~2배가 된다. 이양식은 종종 비대칭삼각형과 혼동되고 있지만
더 부드럽고 안락한 L자형의 흐름을 이룬다고 할수 있다.
2.패럴렐 시스템(parallel system)
가장 순순한 형인 패럴렐 시스템의 구성은 사이에 공간을 가진 소재를 수직으로 구루핑한 세 개의 단위로 이루어진다.
꽃들은 반드시 평행이어야 하며 각기 다른 밑부분으로 부터 5cm의 간격으로 꽂았다면 어레인지먼트의 맨 위쪽에서도 같은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3.뉴컨벤션(net convention)
뉴컨벤션은 선형 양식의 디자인이다. L자형에 기초를 둔 정확한 뉴 컨벤션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뚜렷한 직각이나 수직을 결합한
강한 수직선이나 수평선들이다.
수평과 수직의 선들은 디자인에서 같은 시각적인 무게를 가질 필요는 없다.
4.포멀리니어(formal linear)
포멀 리니어는 모든 꽃들을 수직으로 배치한다. 꽃으로 이루어진 원주기둥들은 아주 곧고 형식적인 것으로 도시에서의 초고층 빌딩과 같다.
많은 형가 선들이 중심을 향하여 줍중된다. 포멀 리니어의 구성은 선과 각도가 명확하게 표현된다. 항상 비대칭적인 균형을 지닌
포멀리니어 디자인에서 사용된 소재들의 모양이나 형이 구성 중에서 어떻게 조화 되느냐에 중점을두고 있다.선들은 수직,수평이나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비율, 즉 한 부분이 다른 부분과의 크기 관계가 이 양식을 성공적으로 만들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소재들들 가리기 위하여 대리석이나 유리 화기를 사용한다.
5.뉴 웨이브(new wave)
뉴 웨이브는 소재들의 변화에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기치 않은 방식으로 작품들을 비정상으로 제시하고 중심에서 벗어난 각도를 이용하면서 소재들을
바꾸거나 요소들을 대치시키면서 전통적인 규칙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인정하면서 플로랄 아티스트에게는 자유를 부여하는 것이다.
색과 기하학적인 모양이 일치하지 않은 점은 뉴웨이브 디자인이 주도 하는 두가지 요소이다. 잎들은 독특한 색으로 칠한다.
뉴웨이브 양식에는 두 가지 기초적인 표현이 있다. 그 하나는 예술적이고 공예적인 접근으로 전시용으로만 타당하며,
둘째는 오늘과 같은 환경 안에서 깜짝 놀랄만큼 강조될 수 있는 것들을 사용하여 판매하기에도 알맞은 구성이다.
대칭적인 균형이나 비대칭적인 균형의 범주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개방적인 균형에 속한다.
6.앱스트랙트(abstract)
추상적인 디자인은 자유형으로 색과 모양 그리고 질감들을 강조한다.
그들은 항상 소재들의 실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아니라 틀에얽매이지 않으면서 진보적이고 기계적인 기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재들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꽂거나 정적으로 구성ㅎ아여 역동적인 느낌을 준다.
줄기나 선들, 초점과 색, 모양 또는 소재들의 재질을 교차시켜 모든 소재들을 가공하지 않은 독특한 방식으로 사용하며 예상 밖의 방향으로
배치되었지만 지전통적인 초점지역을 예시한 자유형으로 구성은 균형이있고 안정된 형태를 보여준다
7.파베(pave)
파베란 작은 돌들을 가능한 한 빼빽하게 모으는 것과같이 소재들을 구성하는 방법이다.
파베란 용어는 같은 크기의 작은 돌들을 베이스의 표면에 가능한한 밀착시키는 보석 디자인에서 유래되었다.
이러한 기법은 디자인 전반에 사용하기도 하고 구성의 일부에만 적용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