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제3회 필답형(문제및 답안)

봄춘 2008. 7. 12. 23:02

2007년 제3회 화훼장식기사 필답형 예상답안

1. 식물의 번식 방법에는 종자로 번식하는 (     )과 영양기관에 의해 번식하는 (    )이

있다. 식물의 가지를 자른 후 뿌리를 내린 후 새로운 개체를 만드는 것을 (    )이라고 한다. (    ) 안에 들어가는 말을 쓰시오(3점)

  1)----(  종자번식,실생번식,유성번식 )         2)----( 영양번식,무성번식  )

  3)---(취목)

2. 경매제도의 장점을 3가지 쓰시오.(3점)

  1)경매 제도는 공개적인 판매 제도이다.

  2)모든 시장 참여자들이 경쟁할 수 있기 때문에 부패성 농수산물의 생산자나 출하자 들은 이에 맞추어 상장할 수 있다.

  3)경제적인 판매수단이다.

  4)생산자나 출하장에게 고급품과 마찬가지로 저급품의 농수산물에도 충분한 시장 가치를 제공한다.

  5)대규모나 소규모의 생산 농가에게 균등한 판매기회를 갖게 된다.

  6)생산자들은 지역 상인에게도 거래할 수 있는 시장 선택의 기회가 확대되기 때문에 수취 가격을 더 확실하게 받을 수 있다.

  7)생산자가 시장 가격의 추세를 관찰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8)농수산물의 등급화와 표준화에 대한 가치를 농업인에게 인지시키는데 직,간접의 도움을 주고 경제적인 유인책이 된다.

3. 디자인 원리에서 시각적 균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4점)

 `화훼장식에서 균형은 인간의 시각적 감각으로 느껴지는 무게의 평형 상태를 뜻하는 가장 일반적인 디자인 원리이며, 전체적 평형의 느낌을 얻기 위한 무게중심의 배치로서 대칭 균형(symmetrical balance)과 비대칭 균형(asymmetrical balance)으로 구분된다.대칭 균형 꽃꽂이는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표현되는 것이고,비대칭 균형의 꽃꽂이는 왼쪽과 오른쪽의 무게가 시각적으로 동일하게 표현되는 것이고,비대칭 균형의 꽃꽂이는 왼쪽과 오늘ㄴ쪽의 무게가 일정하지 않지만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균형을 표현하는 것이다.

4. 화훼장식 절화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를 하고, 대표적인 화훼류 2가지씩을 쓰시 오.(4점)

1)라인플라워(line flower)-꽃대나 줄기의 선이 강조될 수 있는 직선이나 곡선을 강조하는 것으로 작품의 외곽에 배치하여 효과를 내는 수법이다. 절화로는 (글라디올러스,금어초,델피니움,리아트리스,스토크,익시아,프리지아 등

2)폼 플라워(form flower)-사람의 눈을 매혹시킬 수 있는 개성적이고도 특징적인 형태를 가진 꽃이나 소재를가지는 형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포인트가 되는 중심부에 사용한다. 절화로는 (극락조화,나리,심비디움,안수리움,카틀레야,칼라,프로테아,헬리코니아 등

3)매스 플라워(mass flower)-꽃 장식에서는 많은 꽃을 다발로 묶어서 아름답게 강조하는 것으로 원형,타원형,부채형,삼각형,사각형,방사형 등이 있으며 절화로는(거베라,국화,데이지,마가렛,수국,장미,카네이션 등)

4)필러 플라워(filler flower)-라인 플라워나 매스 플라워의 공간을 메우는 꽃으로 강한 선이나 색채 등을 부드럽게 조화시키거나 섬세한 느낌을 주기 위하여 사용한다. 절화로는 (마타리,백공작,스프레이 국화,솔리다스트,스타티스,아스파라거스,아디안텀,숙근안개초,카스피아 등)

5. 온실재배에서 주년생산을 위해 광주기성 조절방법에 필요한 시설 2가지를 쓰시오.(4점)

1)일장을 이용한 차광재배(차광시설인가요)

2)일장을 이용한 전조재배(전조시설이나 조명시설인가요.)

 

 

6. 화훼장식에서 분화류를 장식하는데 사방에서 관찰하려고 한다. 한 용기안에서 키 가

큰 교목은 어느 곳에 배치해야 하는지 쓰시오.(2점)

-기식화단;중앙에 배치한다. 가장자리에는 작은 식물 사방에서 모두 관상 가능하다.

7. 뉴 컨벤션 디자인(new convention desig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4점)

뉴 컨벤션은 새로운 관습이라는 뜻으로 구조적인 선으로 구성한 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L자형 형태를 기본으로 하는 평행적,구조적,서형적인 디자인으로 강력한 수직선이 있고,이에 반사하는 수평선이 있다.

특징;1)수직과 수평을 재구성한 선과 형을 나타내는 디자인이다.

     2)수직의 선에 직각으로 전후좌우 반사된 형태로 거울에 비친 모양으로 구성한다.

     3)선형을 이루며 음화적 공간이 뚜럿이 존재해야 한다.

     4)반사되는 선은 보통 수직선들보다  짧다.

 

 

8. 학명을 쓰시오.(3점)

1)무궁화;무궁화-Hibiscus syriacus(아욱과)

2)팬지;Viola tricolor

          V. x wittrockiana   (제비꽃과)

           600가지 꽃도감 p28

3)나팔나리;Lilium longiflorum  (백합과)

           600가지 꽃도감 p19

9. 절화류를 저온 수송시 좋은 점에 대해서 설명하시오.(3점)

`절화의 저온수송의 이점

1)꽃봉오리의 개화와 꽃의 노화 지연

2)급격한 수분 손실 방지

3)고온으로 촉진되는 호흡 방열을 감소시켜 꽃의 고온화를 방지

4)에틸렌에 대한 꽃의 민감성 감소

5)꽃에 의한 에틸렌 생성의 감소

6)줄기,잎, 그리고 꽃잎 내의 저장 영양분과 다른 물질들의 분해 지연

->저온은 절화의 저장과 유통을 성공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최적 저온저장은 꽃과 잎의 노화를 늦추고 저장 기간을 연장시킨다. 절화는 그 종이나 품종에 알맞는 최적온도,꽃발육의 최적단계, 그리고 최적의 방법으로 저장해야 한다. 최적 저장온도는 종류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 열대 원산의 절화는 온대원산의 절화보다 높은 온도에서 저장한다. 왜냐하면 저온에서는 꽃의 변색,잎과 꽃잎의 괴사현상,저장 후 봉오리 발육의 지연과 같은 피해가 야기되기 때문이다.

10. 화훼장식에서 음성적인공간과 양성적인공간에 대하여 설명하라.(4점)

1)양화적공간(Positive Space),양성적공간;-재료가 실질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공간이다.

2)음화적공간(Negative Space);재료가 차지하고 있지 않은 공간으로 꽃과 꽃 사이의 작은 공간들도 모두 여기에 속한다. 음화적인 공간은 꽃들이 더욱 돋보이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음화적인 공간이 부족한 디자인은 자칫 갑갑해 보이거나 꽃들의 개성이 돋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열린공간(Voids);그룹과 그룹 사이의 공간, 재료와 재료를 연결해주는 공간으로 양화적공간,음화적공간을 더욱 돋보이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다른 종류의 꽃들을 그루핑해 사용하는 경우 열린공간을 충분히 활용해야 더욱 완성도 있는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공간의 효과;식물은 주변의 음화적인 공간으로 인해 더욱 돋보이게 된다.

중심점에서 가장자리까지 점차적인 공간이 확보된 경우 균형의 안정감을 가진다.

공간이 반복되면 하나의 리듬이 형성된다.

11. 더치 플레미쉬(Dutch Flemish)(3점)

17C 화가들이 즐겨 사용하던 양식으로 한 형태로 수많은 종류들의 꽃들을 하나의 화기에 사용하는 것이다. 꽃 외에도 조개,과일,벌레와 같이 연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회화에서의 더치 플레미쉬는 실제로와 다르게 어느 정도 상상을 가미해서 하나의 화기에 여러 게절의 꽃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오 여러 게절의 꽃을 한 화기에 사용하기는 어려우나 그것은 더치 플레미쉬 양식의 특징이기도 하다.

12. 분화류의 품질관리를 위한 관수방법을 설명하시오.(4점)

1)한번 관수할 때 충분하도록 하고,화분 밑의 배수구로 부터 흘러나오게 한다. 수분이 배수구로 밀려나옴으로 인해 화분내에는 새로운 공기(산소)가 공급되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에 좋다.

2)경ㄹ의 관수는 아주 추운 시간대에 수돗물과  같은 생수는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으며,관수시간은 오전 10시경 좀 따뜻할 때 하는 것이 좋다. 차가운 냉수로 관수할 경우 잎에 얼룩무늬가 생기기도 하는데 특히 바이올렛의 경우 심하게 나타난다.

3)여름에는 일반적으로 아침에 1회 관수하고 건조의 상태에 따라 저녁에 1회 더 관수 하도록 한다. 한여름에 관수할  때는 한낮의 더운시간은 피해야 한다.

4)관수한 후 1~2분 지나도 배수되지 않는 화분일 경우 분갈이해서 배양토를 바꾸어야 한다.

13. 토양PH에 따른 수국의 화색 조절에 대해 설명하시오.

-수국에는 청색꽃과 분홍색꽃이 있는데 이는 토양의 조건에 의해서도 좌우된다.

-산성토양에서는 (청색)으로,알칼리성 토양에서는( 분홍색)으로 된다. 그 이유는 산성토양에서는 알루미늄이 잘 녹고 식물체가 이를 흡수하고 (안토시아닌)이라고 하는 색소와 결합하여 청색을 띠기 때문이다.

-반대로 알칼리성 토양에서는 알루미늄이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분홍색을 띠게 된다.

그러나 최근의 품종은 화색이 간단하게 변하지 않도록 개량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화색을

나타낸다

14. 글리세린 용액500ml를 만들기 위해 물과 글리세린을 3:2 비율로 섞었다.

그럼 글리세린은 얼마 만큼의 용량이 사용됐는지 식과 함께 답을 적으시오(2점)

15. 꽃의 기관을 그림과 함께 각 명칭을 적으시오(4점)

출처 : 플로리스트사랑
글쓴이 : floriferous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