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3. 화훼장식의 종류

봄춘 2008. 5. 14. 22:10

3. 화훼장식의 종류


(1) 꽃꽂이(Flower arrangement)


2)서양꽃꽂이


② 유러피안 스타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비데마이어스타일(Biedermeier style)

• 소형원과 타원형, 그리고 동심원에 배치된 소재들이 이 디자인의 모양이다.

• 소재를 원과 열들로 구성한다.

• 반구형의 어렌지먼트로 촘촘하게 구성한다.

• 시작된 꽃으로 마지막 1송이를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밀드프루어 스타일(Mile de fleur style)

• 수천의 꽃이라는 뜻으로 낭만주의 시대를 대변한다.

• 다양한 꽃과 다양한 색상이 혼합된 전통적인 형으로 꽃들의 형태와 재질,

  그리고 색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폭포수 스타일(Waterfall style)

• 폭포수 형태로 길게 늘어진 소재들의 경사진 흐름이다.

• 물이 떨어지는 듯한 효과를 준다.

• 효과를 주기 위해서 베어그라스와 미스티블루와 반짝이는 이질소재를 사용하여

  더욱 물이 흐르는 듯이 표현해준다.

• 19C에 신부의 부케에서부터 이스타일이 시작되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휘닉스 스타일(Phoenix style)

• 작품의 중앙에서 소재가 우뚝 튀어 나오는 라운드형의 변형이다.

• 이 형의 기초가 되는 밑부분은 꽃과 꽃 사이에 공간이 거의 없는

  전통적이고 치밀한 방사선형의 디자인이다.

• 아라비아 사막에서 500년 이상 살다 스스로 불태워 잿더미로부터 다시 소생하여

  영원불멸 의 상징을 갖고 있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 나오는 새(불사조)의 전설에서 비롯되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플레미시 스타일(Flemish style)

  많은 꽃들이 군집한 뭉치처럼 구성된 형으로 다양한 종류의 꽃과 잎,

  그리고 신선한 과일이나 야채들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식물적 스타일(Botanical style)

 식물의 자연식생을 이미지화하여 자연그대로 살아있는 것 같이 이상화하는 구성이다.

• 이상화하기 위한 주그룹, 역그룹, 부그룹의 분할에 따라 배치하여 각각의 그룹의 관련성을 표현한다.

• 식물의 자연상태를 이해하고 생태표현의 특징을 표현한다.

• 식물의 생장 모양과 움직임을 파악하여 자연감의 표현을 이해한다.

• 식물의 분포나 환경이 같은 소재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 Moment는 가상의 생장점이라도 가능하게 됨을 이해한다.

• 작품의 폭 : 높이 = 5 : 8의 비율료 한다.

  그룹의 양적 비율 = 8 : 5 : 3이 안정감 있다.

• 기본적인 식물분포나 같은 환경의 식물소재를 사용한다.

• 비대칭의 구성에 따라 주그룹, 부그룹, 역그룹으로 분할에 의한 배치를 한다.

• 주가 되는 소재는 각 그룹에 공통되고 관련성과 통일감을 갖게 된다,

• 생장리듬에 맞게 구분지어 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방사선형 식물디자인 스타일(Radial Vegetative design)

• 방사선형 식물적 스타일은 자연에서 자란듯이 배열하는 것이다.

• 작품의 한 점에서부터 시작되며 모든 소재들은 화기 안의 가상의 점에서 사방으로 뻗어나간다.

• 지면을 자연적인 식물로 표현하여야 자연스럽게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병렬형 식물디자인 스타일(Parallel vegetative style)

• 각 소재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형태로 모아서 배치한다.

• 디자인의 밑받침은 실제 환경을 묘사하기 위해서 자연스런 식물로 가려준다.

• 자연적인 식물들로 밑받침하여 식물적 디자인을 강조한다.

• 식물 소재가 서로 병행하여 배치되어 있는 조형이다.

• 화려한 풍부함을 표현하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흔하게는 폐쇄된 윤곽으로 조형한다.

• 비대칭의 구성에 따라 그룹으로 나누어 배치한다.

• 주된 소재는 그것들의 그룹에도 공통으로 가지며 관련성과 통일감을 갖게 한다.

• 동일소재라도 리듬감을 주어 배치한다.

• 소재를 앞뒤로 배치하여 깊이감을 주며 옆면으로 봐도 평행으로 배치한다.

 

 

⒤ 조경적 식물스타일(Landscape style)

• 자연 그 자체를 모방하는 것이 아니고 그들의 독특한 소재를 살려서 자연스러운 느낌을 표현한다.

• 식생이 서로 다른 소재를 잘 어울리게 구성하여 공간의 조화를 이루게 한다.

•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있는 식생이 서로 다른 소재를 어울리게 선택한다.

• 중가치적인 요소나 잎을 선택한다.

• 주제에 잘 어울리는 화기를 구성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쉘터드 스타일(Shelltered style)

• 보는 이로 하여금 화기 속을 들여다보게끔 호기심을 유발하는 작품이다.

• 화기 속에 소재들과 꽃들이 보호받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는 디자인이다.

• 깊은 화기를 사용하거나 넓은 화기를 사용하면 더욱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다.

• 나무나 넓은 관엽으로 선을 꽂고 그 그늘 밑에 편안하게 휴식하듯 디자인 하는 것.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서구적 선형 스타일(Westen Line style)

• 전형적인 형에는 디자인의 높이가 이 디자인의 넓이의 1.5~2배가 된다.

• 일반적으로 비대칭과 대칭적인 선으로 구성되고 부드럽게 펼쳐진 부등변 삼각형이나 부드러운 L Shape형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컨벤션 스타일(New Convention style)

• 재구성한 선, 형을 뜻한다.

• 수직의 선들은 이 선에 직각, 전면, 후면, 옆면에 반사된 모양으로 구성되었다.

• 이 반사된 소재들은 수직선들과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였다.

• 앞, 뒤, 옆면에서 거울에 비친 듯이 느껴지도록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외형적 선형 스타일(Formal Linear style)

식물 소재의 형과 선의 대비를 표현하는 구성이다.

• 식물의 형태나 움직임의 형태로부터 자연의 가운데 있는 조형요소로서

  직선과 곡선, 평면과 입체의 특성을 이해하여 표현한다.

• 식물소재의 선과 형태의 움직임이 대비로 긴장감이 있는 작품을 표현한다.

• 직선, 곡선, 평면, 입체를 합하여 특징있는 식물소재를 선택한다.

• 7~12종류 정도를 알맞게 적은 식물소재를 선택한다.

• 하나의 생장점에서 시작해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파브스타일(Pave style)

• 파베드(Paved)한 장신구는 보석들 사이에 금속이 전혀 보이지 않으며

  표면에 보석들로 빽빽하게 채워져 있다.

  이와 같이 보석을 박듯이 꽃들로 빽빽하게 모아서 꽂은 형태이다.

• 꽃의 모양, 색감, 질감이 서로 다른 것끼리 사용했을 때 더욱 아름답다.

  작품의 시작 전에 먼저 도안을 한 후에 작품을 시작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베게스타일(Pillowing style)

• 소재들을 작고 탄력이 있는 묶음으로 서로 같이 배열하는 방법이다.

• 정원의 풍경에서 보는 언덕과 계곡과 같이 유연하게 배치되었다.

• 짧은 꽃들로 된 뭉치들이 서로 결합하여 높고 낮은 언덕 모양을 이룬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웨이브 스타일(New Wave style)

• 뉴웨이브 스타일은 작가의 상상력을 최대한 사용하도록 허용하는 구성이다.

• 기하학적이고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하는 현대적 형태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추상적 스타일(Abstact style)

• 자유로운 스타일로 상상력을 최대로 발휘한 비사실적이고 추상적이며 색상과 모양 질감을 강조, 표현한 것이다.

• 형식과 공식을 떠나 잠재된 예술성을 최대한 발휘한 작품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 구조적 스타일(Structure style)

식물의 재질감에 따라 표현구조를 표현하는 구성이다.

• 꽃, 잎, 줄기의 표면에 재질감의 다른 특징을 이해한다.

• 식물소재의 집합과 밀집에 따라 구성하고 윤곽은 촘촘하게 느슨하게 할 수 있다.

• 식물의 소재의 색의 요소도 중시한다.

• 평면적인 약간의 고저에 유의하여 전체적인 밸런스를 취한다.

• 일반적으로 구조적 스타일은 장식적인 형태에 포함된다.




출처 : 플라워뉴스
글쓴이 : 지원 원글보기
메모 :